The study on physical factors related with emotional reaction on the flying path

나는(flying) 궤적(path)에 있어서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물리적 속성(요소)에 대한 연구

  • 김도윤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 정재욱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Animation works have been peformed by the objective sensitivity and experience so far. Software designs have been also manufactured based on intelligent data because they are easy to objectify and digitalize. In contrast, there are many elements, which human senses are hard to objectify and digitaliz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digitalize and objectify human senses and how to use them as the quantitative data and its subject is a flying path. In the experiment, this study collects some sensitive words for how human beings express the living path. The evaluation words for sensitivity through the collected sensitive words are extracted and the sketch images for the flying path are collected from the extracted evaluation words for sensitivity. Based on the collected sketch images, the samples of real moving image, which are the core of this study, are manufactured. Then, quantification theory III and I a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itive words representing the flying path and the samples of moving image. As a result, this study can figure out the structure of sensitive words and the samples of moving image and analyze the physical stimulating elements for the flying path. The flying path corresponds to the path that the object has passed. Some unique sensitive words are expressed by means of interacting some sensitive stimulating elements after looking at such a path. There are some elements that stimulate the senses and they include the physical elements such as speed, rotation, pattern and length of ar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fy and quantify the animation works that are created by animators' subjective thought and experience and to use them in animation works in the future.

지금까지의 애니메이션 작업은 애니메이터의 객관적 감성과 경험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소프트웨어 디자인에 있었어도 지성적인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져 왔다. 이는 객관화하기 용이한 자료로서 데이터화하기가 쉬웠기 때문 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인간의 감성은 객관화하고 디지털화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많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하기 어려운 인간의 감성적 데이터를 객관화하고 이를 정량적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부분으로 나는(flying) 궤적(path)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있어 인간이 나는 제적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한 감성어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감성어를 통해 감성 평가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감성 평가어에서 느껴지는 나는 궤적에 대한 스케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스케치 이미지를 기초로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실험 동영상 샘플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나는 궤적을 나타내는 감성어에 대한 물리적 요소와 동영상 샘플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량화이론III류와 수량화이론I류를 각각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감성어와 동영상 샘플과의 구조를 파악 할 수 있었고, 나는 궤적에 대한 감성반응의 물리적 자극요소 또한 분석 할 수 있었다. 나는 궤적은 오브젝트(object)가 지나간 경로(path)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로(궤적)를 보고 감성자극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특한 감성어로 표현되어 지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엔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그 요소로는 속도, 회전, 규칙 그리고 호의 길이가 그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는 궤적의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데 있어 애니메이터들의 주관적인 감성 표현들을 객관화, 정량화 시키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데이터는 감성 애니메이션 시스템 설계에 있어 기본 데이터로 적용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