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te-Based Look Presented in Modem Fashion

현대 패션에 표현된 취향지향적 룩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 송금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This study was peformed to systematize the concept of taste being recognized as new cultural values, as well as to ascertain the looks and aesthetical values presented in modern fashion in terms of taste. Taste is the life style being pursued individually, a preference and the important factor that characterizes each individual among contemporaries. In particular, the fashion is an important means able to differentiate respective tastes. The taste-based looks including; the dandy-look, the kitsch-look, fetish-look, the grotesque-look, and the kidult-look, etc. are reviewed as cases. Those are well expressing the phases of each times. The looks reflecting contemporaries' various tastes, are symbolic means showing the positive expectations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looks are unifying fashion and society, and the designers are able to be key roles satisfying customer's taste by presenting of their colle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may provide academic basis of the tastes and a framework of interpretation of the tastes and fashion looks within culture by the aesthetical values presented as fash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문화 속에서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취향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취향을 중심으로 현대패션에 표현된 룩의 조형성과 미적가치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에 있다. 취향은 개인에 의해 개별적으로 추구되는 삶의 방식이며 선호이자 현대사회 내에서 개인을 구별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패션은 취향의 차별화를 표현하는 주요 대상이다. 취향이 표현된 룩으로는 시대를 초월한 멋쟁이 취향의 댄디룩과 최근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저속한 취항이 표현된 키치룩, 성적 이상 취향이 표현된 페티시룩, 엽기 취향이 표현된 그로테스크룩과 어린 취향이 표현된 키덜트룩 등이 있다. 현대인의 다양한 취향과 그의 표현인 룩은 패션의 향유를 통한 즐거움의 추구이며 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를 나타내는 상징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룩을 통해 패션과 사회는 서로 소통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는 컬렉션을 통해 룩을 효과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향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공해 주며, 패션으로 표현된 미적 가치를 보석 줌으로써 문화 속의 취향과 패션의 룩에 대한 해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