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ing child' and the Bauhaus: Cult of Innocence in the Modernism

어린이의 발견'과 바우하우스: 모더니즘에 나타난 '순수함'의 숭배

  • 김진경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nlighten two-faced desires of the Bauhaus, revealing that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hild education rooted in Frobel. The Bauhaus declared to disconnect with the traditional education standing for Academies and asked students to go bad to such 'innocence' as children had. The faculty of Bauhaus tried to understand of the essence of the world through primary geometrical forms as 'purity' without any inessential things as $Fr{\ddot{o}}bel$ did. Their attempts not to admit any nonessential things, however, and dinging to purity was rather a sort of neurosis. The modernism is not different from the child art hiding sadistic and dictatorial elements behind the myth of 'innocence'. Considering the child education was born and grown with nutrition from the bourgeois development, it was not compatible with democratic ideals of the Bauhaus. While the new types of schools for children provided an excellent preparation for the Bauhaus to initiate a new design education, people of the Bauhaus were going toward a different direction from aspiration of the bourgeois, strong supporters of the new schools.

본 논문은 프뢰벨에게 뿌리를 두고 있는 아동교육의 맥락과 바우하우스 교육의 연관성 속에서 바우하우스의 이중적인 꿈을 조망하려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바우하우스는 특히 기초과정과 같은 '혁신적인' 교육의 틀을 통해 전통적인 교육과의 단절을 선언하면서, 학생들에게 지금까지 가져온 모든 지식을 버리고 마치 어린이와 같은 '깨끗한' 상태로 돌아 갈 것을 요구했다. 요컨대, 바우하우스는 프뢰벨처럼 어떤 비본질적인 것도 남아 있지 않은 '순수한' 상태로서의 기초적인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세계의 본질를 이해하고 한 것이다. 그러나, 마치 어떤 비본질적인 것도 남겨두지 않겠다는, 이들의 '순수함'에 대한 집착은 차라리 일종의 강박증에 가까운 것이었다. 어린이미술이 '천진난만함'이라는 신화 뒤에 숨기고 있는 가학적 이거나 독재적인 요소는 모더니즘에도 그대로 겹쳐진다. 더욱이, 그들이 기대고 있었던 실험적인 교육으로서의 아동 교육은 부르주아 계층의 성장에서 양분을 얻어 태어나고 성장한 것이니 만큼, 처음부터 바우하우스의 민주적인 이상에 부합할 수 없었다. 바우하우스가 아카데미의 문제를 정확히 짚고 새로운 교육의 장을 열 수 있었던 것은 아동교육과의 연계로 인해 가능한 것이었지만, 역설적이게도 바우하우스는 아동교육이 기반하고 있는 부르주아 계층의 이상과는 전혀 다른 꿈으로 나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