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about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design in Korea - The case of Design Education and Korean Students at Teikoku ART College 1929-1945-

한국에 있어서의 근대 디자인 수용에 관한 고찰 - 제국미술학교의 도안공예교육과 조선인 유학생(1920-1945)을 통하여 -

  • 신희경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As a part of ${\square}$ project to discover Korean modern design and Korean modern an, this thesis is based on collaborated research with Musashino Art College about Teikoku Art College in Japan (renamed as Musashino Art School in 1948 and promoted as Musashino Art College in 1962) and Korean students of Teikoku Art College. In accepting modern art and design, Teikoku Art College. In accepting modern art and design, Teikoku Art College is important since most Koreans studied there to learn modern art and design. Especially, this focuses on activities of Korean students in Design (Zuan) program at Teikoku Art Colleg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sign study and acceptance through Teikoku Art College in Japan and the relationship with design education in Korean after the World War II. This research made it possible to renew the lists of 147 Korean students and 13 Korean students in Design (Zuan) program. Thus, this could be essential data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esign which has lacked basic documents.

본 논문은 한국 근대 디자인, 나아가 한국 근대 미술을 발굴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본의 제국미술학교(1948년 무사시노 미술학교로 개칭, 1962년 무사시노미술 대학으로 승격) 및 제국미술학교에 유학했던 조선인 유학생들(1929-1945)에 대하여, 무사시노 미술대학과 공동으로 행한 연구조사와 발굴을 바탕으로, 이루어 진 논문이다. 근대 미술과 디자인의 수용과정에서 가장 많은 조선인이 유학하였던 근대 적 미술교육기간이 바로 제국미술학교이 다. 제국미술학교 도안 공예과에 유학했던 조선인 학생들의 활동과 도안 공예과 교수들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일본 제국미술학교 교육을 통한 다자인의 학습과 수용이 조선 유학생들에게 어떠한 영 향을 주었고, 전후의 한국 디자인 교육과 어 떠 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147명의 조선인 유학생 명단과 13명의 공예도안과 유학생명단을 새로 작성하였으며, 본 논문이 자료가 취약한 우리 근대 디자인 사를 복원할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