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ypes of Visual Rhythmic Sense in Typography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리듬감 유형 연구

  • 정유경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시각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ypography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s 'potential form' hidden within a space. Showing rhythm in typography is making 'aesthetic sense' in a graphic which ha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way of expression is very important. When the rhythm is recognized through visual stream, Rhythmic Sense is formed. The research will present a new form of the Visual Rhythmic Sense by analyzing typography works out positively. First of all, I researched works done by Fillippo Marinetti, Robert Massin, Wolfgang Weingart, and David Carson for their vigorous experimentalism in typography in forming visual rhythm. I used S.D. Scale metho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age and VARIMAX for factor analysis reaching types of visual rhythm, which could be classified as following. (1) Synesthesia Rhythmic Sense (R-synesthesia) means that the senses are conveyed through 'visualization of auditory sense' and 'visualization of touch' (2) Simultaneous Rhythmic Sense (R-simultaneity) means that the time and space co-exist in one plane. (3) Connective Rhythmic Sense(R-connection) means that different factors (Within one plane) co-exist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and creating a unified impression through such a process. (4) Artist Oriented Rhythmic Sense ($-artist) means that the artist interprets the content subjectively and expresses his/her impression, thereby, attracting a gaze of audience systematically and arbitrarily. (5) Reader Oriented Rhythmic Sense(R-reader) avoids the existing legibility formed through aggressive engagement of the reader.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는 공간(평면)속에서 감추어진 '잠재적 태(胎)'이다. 타이포그래피에서 리듬을 보여준다는 것은 조형성을 가진 그래픽에 '미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표현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리듬이 시각적 흐름을 통하여 인지되어질 때 리듬감이 형성된다. 본 연구는 타이포그래피 작품뜩 통해 실증적 분석으로 시각적 리듬감의 새로운 유형을 제시한 것이다. 우선, 시각적 리듬감 형성을 기한 실험성이 강한 타이포그래퍼 필리포 마리네티, 로베르 마쌩, 볼프강 바인가르트, 데이비드 카슨 등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시각적 이미지 특성 분석으로 어의변별척도(S. D. Scale)법을 사용하였고, 배리맥스(VARIMAX)로써 인자분석을 하여 시각적 리듬감의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1) 공감각적 리듬감(R-synesthesia)은 '청각의 시각화'와 '촉각의 시각화'를 통한 감각의 전이를 의미한다. (2) 동시적 리듬감(R-simultaneity)은 한 평면 안에 시간과 공간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3) 관계적 리듬감(R-connection)은 이질적인 요소들이 (한 평면 안에) 함께 공존하여 상호 관계적 역할을 하면서 전체적인 인상이 통일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4) 작가 중심적 리듬감(R-artist)은 작가가 내용을 주관적으로 해석하여 표현함에 다라 임의적, 계획적으로 독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5) 수용자 중심적 리듬감(R-reader).은 기존의 기독성을 탈피하여 수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로 형성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