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Logo Icon Design Based on Brand Concept: An Exploratory Study with Conjoint Analysis

브랜드 컨셉에 기초한 로고아이콘 디자인의 개발 -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 김해룡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상학부) ;
  • 이기동 (한국능률협회컨설팅) ;
  • 황연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 이문규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Design has become a buzzword in the marketing community these days and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success factor for business. Unfortunately, however, little research to date has been conducted on consumer responses to brand logo designs, which visualize brand identities. This article reports the findings from an experimental study which examined consumer evaluations of logo designs through conjoint analysis. The study explored potential factors which would give rise to the differences of consumer preferen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cognitive brand concepts, search goods show high elaborateness and low symmetry, experience goods show high associativeness, and credence goods show low elaborateness and high symmetry in the logo design characteristics. Affective brand concepts reveal different results in the logo design characteristics: search goods indicate high elaborateness and low associativeness, experience goods show low naturalness, and credence goods show low elaborateness and high associativenes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standpoint.

최근 기업 경영에 있어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 브랜드의 시각적 역할을 담당하는 로고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특히 브랜드 로고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로고의 시각적인 특성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로 제품별 특성에 따라 브랜드 컨셉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로고 디자인을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연구결과 이성적 컨셉의 경우 탐색 재에서는 높은 정교함과 낮은 대칭이, 경험재에서는 높은 연상이, 신뢰재에서는 낮은 정교함과 높은 대칭이 고유특성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적 컨셉의 경우 탐색 재에서는 높은 정교함과 낮은 연상이, 경험재에서는 낮은 자연스러움이, 신뢰 재에서는 낮은 정교함과 높은 연상이 고유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과 함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