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Quantitative Analysis of Emotional Reaction Related with Step and Sound

스텝과 사운드의 정량적 감성반응 분석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As digital Information equipment is new arrival, new paradigm such as 'function exist but form don't' is needed in the field of design. Therefore, the activity of design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machine against visual form. For that reason, it is involved emotional factor in the relationship and studied on new field, the emotional interla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way of emotional interface on searching multimedia data. The main target of paper is effect sound and human's step and the main way of research is visualization after measuring and analyzing numerically similarity level among emotion-words. This paper suggests the theoretical bad(ground such as personal opinion, the character of auditory information and human's step and case studies on the emotion research. The experimental content about sound is fueled from my previous research and the main experimental content about human's step is made with regression-expression to substitute Quantification method 1 for value about stimulation. The realistic prototype to apply the research result will is suggested on the next research after studying the search environment.

디지털정보기기의 등장은 정보의 대량생성과 대량소비라는 사회 혁명적 요소와 더불어, '기능을 위한 종속관계의 형태소멸' '유기능 무형태(宥機能 無形態)' 라는, 디자인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형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디자인 행위는 그 관심이 시각적 대상(對象)에서 벗어나 인간과 기기(器機)사이의 '관계'에 집중되고 있으며, 그 결과 디자인의 감성적 요소가 접목된 감성인터페이스라는 새로운 분야가 형성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검색에 있어서, 이러한 감성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효과음과 걸음걸이(step)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에서 수집된 감성어 사이의 유사성을 수량적으로 계측-분석한 후 시각화하는 것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취하였다. 감성연구에 있어서 개인적인 견해 및 청각정보와 걸음걸이의 특징, 사례연구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음에 관한 실험내용은 본인의 선행연구내용을 인용하였다. 걸음걸이에 대해서는, 자극에 대한 감성반응치를 수량화이론 1류를 이용한 회귀식으로 추출함으로써 걸음걸이의 물리적 요소와 감성반응 사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응용한 프로토타입의 제안은 검색환경과 사용성 평가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진행 한 후, 이어지는 연구에서 제안 할 예정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