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Geometric Shape in the 20th Century Design Education - Focused on the relation of $Fr{\ddot{o}}bel$ Kindergarten Education -

20세기 디자인교육의 기하학적인 형태에 대한 탐구 - 프뢰벨 유치원 교육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 방경란 (천안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fundamental reasons and general circumstances of the introduction of geometric shape to the 20th century's design education. The modern design education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German Kindergarten Movement and its educational ideal, so they began to employ geometric shapes in visual education. When Friedrich Frobel, a professional German child educator of the 19th century, invented the 'Spielgaben,' it soon became a popular educational tool. It was a turning point in the child educational system, from then they began to actively employ 'tools' in art education. The Spielgaben was created based on the geometric principle of a popular block game of the 19th century. On the other hand, a game program called 'Bechaftigungsmaterial' led early Modernists to adopt geometric shape in their works. Then, geometric shape were applied to a primary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by the Bauhaus that gave birth to the Modern design education in the 20th century. likewise, the substantial reasons why the principles of point/line/plain and geometric shapes had been taken in the 20th century design education can be explained through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Kindergarten Movement and Modern design education can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particularly in the light of geometric elements. Therefore, I first referred to the historic records in order to reveal their relation, and then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tivities. In result, I coul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educational tools and the 20th century's design education.

본 연구는 20세기 디자인교육에 있어서 기하학적인 형태에 나타난 조형원리의 근원을 탐색하는 것이다. 디자인 교육에 등장한 기하학적인 형태는 19세기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난 유치원 운동에서 도입된 교육사상에서부터 출발한다. 19세기 독일의 유아교육자 프뢰벨(Friedrich $Fr{\ddot{o}}bel$)에 의하여 탄생된 프뢰벨교구(Spielgaben)의 인기는 학교에서의 미술교과목에서 도구를 사용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과학적이고 수학적인 원리에 의하여 만들어진 프뢰벨교구는 최소한의 색채와 형태를 채택한 어린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었다. 19세기 기하형태의 블록놀이를 중심으로 개발된 '슈필가벤(Spielgaben)'과 '작업($Bech{\ddot{a}}ftigungsmaterial$)'이란 이름으로 진행된 놀이프로그램은 초기모더니스트들에 의해 기하형태에 대한 선택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20세기 현대디자인교육의 시작이 되었던 바우하우스의 기초교육프로그램에서도 적용된다. 이러한 사실에서 20세기 디자인교육에서 나타난 점선면의 원리와 기하학적 형태의 선택에 대한 근원적 배경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운동과 근대디자인교육과의 기하학적인 형태라는 동일한 범주 속에서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이다. 즉, 이러한 연관성에 대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탐색하고 서로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