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osition Factors for Making-up University Campus Image - Focused on the Cates & Surroundings Facilities

대학교 캠퍼스 이미지 조성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교문과 주변시설을 중심으로

  • 문재호 (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e gate of university can be the first impression of the University itself and most important advertising structure which is more than just a structure that people pass by. It can also be the medium that connects the outside with the inside of the campus. Therefore, many universities are willing to have a unique and symbolic gate of their own. Recently, university representatives have become interested in arranging external areas of the campus. At this respect, studying and researching university gates and surroundings facilities must be realized. We visited 104 different universities gates to research and survey people about what they think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individuality of each gate. According to these researches we established a full data base of 24 types of classifications, 5 characteristic forms of each shapes, 8 forms of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gates and 10 surroundings facilities of the university gates.

대학교문은 그 대학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얼굴의 역할을 하며, 학교를 대표하는 주요 홍보시설이다. 특히 출입을 위한 일반적인 기능시설 이상의 비중을 지니는 상징물이다. 또한 대학캠퍼스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이어주는 매개물이며 공공성을 지니고 있는 조형물이므로 각 대학들은 교문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과 차별되는 상징성을 추구하여 개성 있는 교문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 캠퍼스의 외부환경정비를 통한 일관된 대학 이미지의 정립을 위하여 대학의 옥내공간뿐만 아니라 옥외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교문과 주변시설에 대한 연구는 바람직한 캠퍼스이미지 환경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104개 대학교 교문의 현장조사와 설문조사에 의한 실험연구를 통하여, 교문의 24개 유형분류와 5가지 형태적 특성, 8가지 상징적 특성 그리고 10가지 교문주변시설을 분석하였으며 그 구성요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