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urism Resource Development of Travel Souvenir of Gangwon-do using Limited Production - Focusing on Inje-gun in Gangwon-do -

제한 복제생산방식을 활용한 강원지역 문화상품의 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강원도 인제군을 중심으로-

  • 최기 (삼척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가구디자인학과) ;
  • 신수길 (세종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A development proposal that maximizes the trend of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toward tourism and natural resources through utilization of the Limited Production method was the focus of the present research. First, the flaws of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currently produced in Inje, Kangwon-Do, were identified, as were the regional uniqueness of the area.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developmental conditions of the above-specified region to various other Si/Kun regions were demonstrated to ascertain the optimal production method of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uperior supply of,7aw materials necessary for production of wood-worked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are abundantly available and the dose proximity of 17 existing workshops self-contain the production capacity to sustain the Limited Production method. Furthermore, the regional governing council convey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prospect of creating a regional production complex of wood-worked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optimal method of maximizing the trend of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toward tourism and natural resources is achieved through systematic collaboration of industry, education, and tourism that promote development, production, and merchandising of Inje's regional travel souvenir and articles.

본 연구는 문화상품의 관광자원 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개발계획을 제한 복제생산방식(Limited Production)에 의한 산업 클러스터(Cluster) 조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재 강원도 인제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문화상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역적 특수성 및 타 시 군과 비교우위의 개발여건을 증명하여 최적의 지역문화상품 생산방식을 찾고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제군은 원자재(목재)의 보급능력이 우수하고 공예품 생산공방이 밀집해 있어서 제한 복제생산방식을 적용하기에 충분한 생산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문화상품 생산단지 조성을 위한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발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에 산 학 관 협동생산 계획에 의한 대표업체 육성 및 자체 공동브랜드 개발과 생산 분업화 정착, 유통 물류시스템 개발 및 현대화, 문화상품의 인증제 도입, 타 관광산업과의 연계화 추진, 문화상품의 유인력 제고를 위한 판매방식 연구, 개발성과의 상시평가제 도입 등을 실행하여 문화상품의 인제 지역 관광자원 화를 위한 최적의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