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gnition Effect as to the illustration Layout in Children's Picture Books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화면구도에 따른 인지효과 연구

  • 유동관 (상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e layout in picture book is a visual statement that arouses children's psychological reaction upon pictorial positions and those disposition, and that indicates a correlation between theme and background and characters' movements. This study firstly confirmed that children's perception and experience ar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age, past experience, psychological action, physiological impulse, mentality, growth environment, etc., in order to analyze how the pictorial layout in children's picture book has influence on children visually and psychologically. Likewise, visual and psychological perception was carried out targeting on the children between 4 and 7 years old, based on the perceptive specific and process that have been studied by previous researchers. In addition, the children's picture books published overseas or domestically were presented as the related cases, in order that the facts analyzed may be drawn to harmonious and effective pictorial layout.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clusion suggested by this study may be of help to illustrators to design picture books individually and creatively, as well as be applied to studying effective expression in the educant who learn about illustration.

그림책화면에서 구도는 조형요소들의 놓여진 위치와 배열에 따라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이야기내용에 따른 주제와 배경의 관계, 등장인물의 움직임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진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그림책의 화면구도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린이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어린이의 지각발달과 지각경험이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그리고 어린이마다 과거의 경험, 심리작용, 생리적 욕구, 감정상태, 성장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시각적 심리적 지각은 4세에서 7세까지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어린이를 발달심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자의 이론을 지각특성과 지각과정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실증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내용을 조화롭고 효과적인 화면구도방식으로 유추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제작된 어린이그림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결론은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화면제작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