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소적 교환상호작용을 이용한 좁은 자벽의 생성

Formation of a Narrow Domain Wall Using Local Exchange Coupled System

  • 발행 : 2005.08.01

초록

다층박막에서 교환상호작용을 이용해서 자벽의 두께를 인위적으로 얇게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좁은 자벽은 국소적 교환상호작용(exchange coupling)이 존재하는 다층박막에서 구조에서 생성 가능한데, 국소적 교환상호작용이란 다층 박막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자성층 $F_2$이 박막의 전체 면적 중 국소적으로만 존재하면서 다른 자성층 $F_1$과 강한 반강자성 혹은 강자성 교환상호작용으로 결합된 구조를 의미한다. 이 구조에서는 $F_1$ 중 일부 구역만이 $F_2$와 강한 상호교환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F_2$ 결합된 구역은 자유로운 구역과 크게 다른 스위칭 필드 값을 가지게 되므로, 두 구역의 경계 면에는 적절한 외부 자기장의 조건하에서 자벽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되는 자벽의 두께는 외부자기장과 교환상호작용 에너지에 의해 적절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일반적인 자구 사이에 생성되는 자벽의 두께에 비해서 매우 얇아 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 사실을 micromagnetics 전산모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Formation of a narrow magnetic domain wall is demonstrated by micromagnetics simulations. It is found that the domain wall width can be shrunk in a local exchange coupled system. The local exchange coupled system means that only a part of a ferromagnetic layer has an exchange coupling with another ferromagnetic layer. The system can be considered as two parts in the lateral dimensions: one is an exchange coupled region and another is a free region. Since the two regions have quite different local switching fields, the domain wall will be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regions at moderate field ranges.

키워드

참고문헌

  1. S. Chikazumi, 'Physics of Ferromagnetism' 2nd Ed. Clarendon Press Oxford(1997)
  2. F. Bloch, Z. Phys., 74, 295(1932) https://doi.org/10.1007/BF01337791
  3. L. Neel, C. R. Acad. Sci. (Paris), 241, 533(1955)
  4. P. Bruno, Phys. Rev. Lett., 83, 2425(1999) https://doi.org/10.1103/PhysRevLett.83.999
  5. N. Garcia, M. Munoz, and Y.-W. Zhao, Phys. Rev. Lett., 82, 2923( 1999) https://doi.org/10.1103/PhysRevLett.82.2923
  6. G. Tatara, Y.-W. Zhao, M. Munoz, and N. Garcia, Phys. Rev. Lett., 83, 2030(1999) https://doi.org/10.1103/PhysRevLett.83.2030
  7. G. Tatara, Int. J. of Mod. Phys., 15, 321 (2001) https://doi.org/10.1142/S0217979201002552
  8. See 'Symposium on the controversy over ballistic magnetoresistance' in the proceeding of 9th Joint MMM/Intermag Conference, Anaheim, CA, USA Jan. 5-9(2004)
  9. J. Mathon, unpublished. (http://www.city.ac.uk/mathematics/NanoStructures/domain.html)
  10. J. B. A. N. van Hoof, K. M. Schep, A. Brataas, G. E. W Bauer, and P. J. Kelly, Phys. Rev. B, 59, 138(1999) https://doi.org/10.1103/PhysRevB.59.138
  11. P. Bruno, Phys. Rev. B, 52, 411(1995)
  12. M. D. Stiles, J. Magn. Magn. Mater., 200, 322(1999) https://doi.org/10.1016/S0304-8853(99)00334-0
  13. C.-Y. You, C. H. Sowers, A. Inomata, J. S. Jiang, S. D. Bader, and D. D. Koelling, J. Appl. Phys., 85, 5889(1999) https://doi.org/10.1063/1.369904
  14. C. Y. You and S. D. Bader, J. Appl. Phys., 92, 3886(2002) https://doi.org/10.1063/1.1503861
  15. E. E. Fullerton, J. S. Jiang, M. Grimsditch, C. H. Sowers, and S. D. Bader, Phys. Rev. B, 58, 12193(1998) https://doi.org/10.1103/PhysRevB.58.12193
  16. http://math.nist.gov/oommf/
  17. A. Huber and R. Schafer, 'Magnetic Domains,' Springer, Berlin, p. 219(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