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Remanent Magnetization on Detecting Signals in Magnetic Flux Leakage System

자기누설탐상시스템에서 배관의 잔류자화가 결함신호에 미치는 영향

  • Seo, Kang (Dept. of Electric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Hyun-Won (Dept. of Electric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Gwan-Soo (Dept. of Electric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Rho, Yong-Woo (Pipeline Research Center, Korea Gas Corporation R&D Division) ;
  • Yoo, Hui-Ryong (Pipeline Research Center, Korea Gas Corporation R&D Division) ;
  • Cho, Sung-Ho (Pipeline Research Center, Korea Gas Corporation R&D Division) ;
  • Kim, Dong-Kyu (Pipeline Research Center, Korea Gas Corporation R&D Division)
  • 서강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
  • 정현원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
  • 박관수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
  • 노용우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배관연구센터) ;
  • 유휘룡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배관연구센터) ;
  • 조성호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배관연구센터) ;
  • 김동규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 배관연구센터)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magnetic Hut leakage (MFL) type nondestructive testing (NDT) method is widely used to detect corrosion and defects,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underground gas pipelines. The object pipeline is magnetically saturated by the magnetic system with permanent magnet and yokes. Because of the strong magnetic field enough to saturate the pipe, there could be distortion of the sensing signals because of the magnetization of the pipeline itself, To detect the defects precisely, the sensing signals are need to be compensated to eliminate the distortions coming from the media hysteresis. In this paper, the magnetizations of the pipeline in MFL type NDT are analyzed by Preisach model and 3D FEM. The distortions of the sensing signals are analyzed.

자기누설탐상시스템은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서 발생되는 부식이나 크랙 또는 기계적 변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파괴검사 방법의 하나이다. 지하 매설 배관은 Nd 자석에 의해 착자가 되고, 배관에 부식이 발생했을 경우 배관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자기누설이 발생하며, 발생된 자기누설을 홀센서로 검출하여 부식의 유무, 크기, 모양 등을 판별하게 된다. 지하 매설 배관은 자기누설탐상시스템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처음 검사하는 배관이 아닌 경우는 자기누설탐상시스템의 착자시스템에 의해서 검사 이후에 잔류자화가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배관에 존재하는 잔류자화에 의해서 자기누설탐상시스템에 의한 착자 정도가 변화하게 되어 검출 신호에 영향을 준다. 검출된 결함신호에는 결함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잔류자화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결함신호로부터 결함의 크기와 모양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잔류자화에 대한 정보를 제거하거나 보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관의 잔류자화의 영향을 배관의 잔류자화 방향과 크기에 따라 해석하고,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잔류자화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 Haines et aI., Pipeline & Gas Industry, 49 (1999)
  2. J. Bruce Nestleroth, Steven W. Rust, and David A. Burgoon, The NAC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and Exposition CORROSION 96 44, 1(1996)
  3. S. Mandayarn, L. Udpa, S. S. Udpa and W. Lord, NDT&E International 30, 297(1997) https://doi.org/10.1016/S0963-8695(96)00075-8
  4. K. S. Ryu, D. L. Atherton, and L. Clapham, J. Phys. D: Appl. Phys. 35, 2693(2002) https://doi.org/10.1088/0022-3727/35/21/301
  5. G. S. Park, P. W. Jang, and Y. W. Rho, Journal of Magnetics 6, 31 (2001)
  6. G. S. Park and E. S. Park, IEEE Trans. Magn. 38, 1277(2002) https://doi.org/10.1109/TMAG.2002.988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