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duction of sensibility dimension for selection of wallpaper

벽지 선택을 위한 감성 차원 축소에 관한 연구

  • Chun Young-Min (Dept. of Computer and Statistical Informatics,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oon-Young (Dept. of Computer and Statistical Informatics,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Hwan (Div.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Sung-Suk (Div. of Mathematics and Statistical Informat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천영민 (전북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통계정보학과) ;
  • 김순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통계정보학과) ;
  • 김성환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정보공학부) ;
  • 정성석 (전북대학교 수학통계정보과학부)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sensitivity adjectives on wall paper are collected. With the collected sensitivity adjective, we are going to develop the model which can recommend the wallpaper to customer. A large number of adjectives describing affectiv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such diverse sources as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field survey results and internet survey result. To search the representative adjective of collected adjective, we used the divers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e attempted to decide the axis name of dimension through the MDS(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method using the similarity matrix an4 to find a three or four reduced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method using the varimax rotation metho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duced factors could account about $82\%$ when the number of factor is three(popular, elegance, and passable) ant about $93\%$ when the number of factor is four (elegance, passable, beautiful, and affectionate)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expect it can be used to develop the model recommending the wallpaper.

벽지에 대한 감성형용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형용사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을 위한 벽지 추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현장조사, 인터넷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용사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형용사들의 대표 형용사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통계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유사성 행렬을 이용한 다차원 척도 분석방법을 통해 차원의 축명을 결정하고자 시도하였으며 배리맥스 회전 방법을 이용한 요인분석 방법을 통해 3개 또는 4개 정도의 축소된 요인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요인의 수를 3개로 했을 경우에는 약 $82\%$의 설명력에 대중적인, 중후한, 그리고 여성스러운 등의 형용사로 축소할 수 있었으며, 요인의 수를 4개로 했을 경우에는 약$93\%$의 설명력에 품위 있는, 무난한, 아름다운, 그리고 정감있는 등의 형용사로 축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에 소비자들을 위한 벽지추천 모형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