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distribution relationship of dioxin isomers in some environmental matrix

몇 가지 환경 시료 중에 함유된 다이옥신류 이성질체들의 분포에 대한 상관성 연구

  • Kim, Yunje (Air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Jun, Myung Yoon (Air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연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기자원연구센터) ;
  • 전명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기자원연구센터)
  • Received : 2005.04.26
  • Accepted : 2005.09.21
  • Published : 2005.10.25

Abstract

In recent years, dioxins which were designated a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endocrine disrupters are treated as substa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tudied about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emission pollutants estimation, analytical methods and so on. It is easy that dioxins are accumulated to soil because of the atmosphere circulation of burning up the waste. This is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relationship of dioxin isomers in exhausted gas of industrial waste and urban waste incinerators, ambient air and soil. A basis of PCDDs and PCDFs based on OCDD was drawn up to the curve and they correspond to dioxin isomers in exhausted gas of industrial waste and urban waste incinerators and ambient air. On comparing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mbient air and exhausted gas of industrial waste incinerators were very similar in curve and ratio. Consequently, environmental by exposed dioxin depends on the exhausted gas of industrial waste incinerators than urban waste incinerators. In case of soil, even though we can not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of pollution source bring on pesticide and other factors, and naturally biological dissociations, the curve shape is very similar to exhausted gas of industrial waste incinerators and ambient air. So, we inform here that it was mainly caused by these environmental factors.

최근 환경 잔류성 유기오염 물질과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지정된 다이옥신은 가장 중요한 환경 물질로 취급되어 인체위해성 평가, 배출 오염원 측정 및 분석 방법, 저감대책, 환경에의 농도 및 영향 평가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폐기물 소각 등 모든 연소과정에서 주로 생성된 후 대기 순환 등을 통하여 환경 중에 확산된 다이옥신 등은 토양에 축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 가스, 생활 쓰레기 소각장 배출 가스 및 대기 그리고 토양의 시료로부터 다이옥신의 이성질체 분포에 대한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PCDDs와 PCDFs를 OCDD를 기준으로 하여 그 비율에 기초하여 곡선을 작성하여 그 형태로부터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 가스와 대기 중에서의 이성질체 분포 곡률과 비율이 거의 일치함을 볼 수 있다. PCDDs와 PCDFs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서로 유사한 곡률과 비율에 대한 결론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환경 중에 노출되는 다이옥신은 생활 쓰레기 소각장 배출 가스보다는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가스에 좀 더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토양 시료의 경우 농약 등 다른 오염원의 가능성 및 자연 분해 정도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곡률의 형태는 배출가스들과 유사함을 보여 토양 오염 또한 소각장 배출 가스들에 기인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 Huff, Chemosphere, 25, 173-176(1992) https://doi.org/10.1016/0045-6535(92)90506-M
  2. R. D. Hinsdill, D. L. Couch and R. S. Speirs, Environ. Pathol. Toxicol., 4, 401-412(1980)
  3. 장성기, 신선경, Anal. Sci & Tech., 12(3), 27A-46A (1999)
  4. R. J. Kociba, D. G. Keyes, J. E. Bater, R. M. Carreon, C.E. Wade, Toxicol. Appi. Pharmacl., 46, 279(1978) https://doi.org/10.1016/0041-008X(78)90075-3
  5. D. G. Keyes, J. S. Holler, D. F. Groce, Environ, Toxicol. Chem., 5, 355(1986) https://doi.org/10.1897/1552-8618(1986)5[355:COIITA]2.0.CO;2
  6. Yunje Kim, S. Y. Lee, and M. S. Kim, Chemosphere. 43, 501(2001) https://doi.org/10.1016/S0045-6535(00)00401-X
  7. 안윤경, 신정화, 유선영, 김지형, 홍종기, Anal. Sci & Tech., 18(1), 13-22(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