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발행 : 2005.06.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 그리고 정보활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보활용교육의 사례를 비교${\cdot}$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한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은 정보활용교육의 모형에서 추출한 5대 기능과 과정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의 내용을 수용하였다. 또한, 모든 정보매체와 정보텍스트의 형식, 정보활용의 과정과 전략, 정보의 체계 및 구조를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 고학년(4-6), 중학교(1-3), 고등학교(1-3)로 구분하여 교육내용에 따른 계열을 설정하였다.

The study has develop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for integration strategie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American and Japan. Basing on the comparative result, it propos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The scope and sequence which it proposes based on the skill and process of information literacy model, it includes content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lso, supposed scope take in all format of information media, the process and strategies of information use,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the supposed sequence divided into elementary school(1-3), elementary school(1-4), middle school(1-3), high school(1-3)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철 등. 2001. '초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중학교 정보와 도서관', '고등학교정보와 도서관'. 서울: 대한교과서
  2. 김용철 등. 2003.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 대구: 태일사
  3. 김종성. 2003. 미국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229-252
  4. 김효정, 이병기 공역. 2000. '정보탐색과정론'. 군포: 한국디지털도서관포럼 .Kuhlthau, Carol C. 1993. Seekin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Greenwich CT: Ablex
  5. 박명규. 2004.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변우열. 2003.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 1-18
  7. 송기호. 2005.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8. 유소영. 2004. 정보이용능력교육과 학교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247-261
  9. 이병기. 2003.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43-60
  10. 이병기. 2005.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접', 19(19): 121-142
  11. 한국도서관협회. 1994. '도서관정보관리편람'. 서울: 동협회
  12.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편. 2003. '2003년판 한국도서관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日本圖書館協會. 2001. '圖書館利用敎育ガ亻ドラ亻ン合冊版: 圖書館 にぉけるク 情報リテラシー支援 サーヒスのために'.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14. AASL, 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5. Doyle, C. S. 1994. Information-literate use of telecommunications. CMLEA Journal, 17(2): 17-20
  16. Dunn, R., Smith. J. B. 1990. Learning style and library media programs. School Library Media Annual, 8: 32-49
  17. Eizenberg, Michael B. and Robert E. Berkowitz. 1990. Information Problem-Solving: The Big Six Skill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kulls Instruction. Norwood, NJ : Ablex
  18. Eizenberg. 2001. the BIG6 Skill: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Information Age. [cited 2005. 3.16]
  19. Grassian, E. S., Kaplowitz, J. R. 2001.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e teαy and practice. New York : Neal-Schuman Pub
  20. Joyce, M. Z., Tallman. J. I. 1997. Making the writing and research connection with the I-Search Process. New York : Neal-Schuman
  21. Kuhlthau, Carol C. 1989. Information Search Process: A Summary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22(1): 19-25
  22. Stripling, Barbara K. and Judy M. Pitts. 1988. Brainstorms and Blueprints. 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INC
  23. Newark Valley School District. 2004. Information Literacy Compαlents: Scope and Sequence of Skills, Concepts and Information, [cited 2005, 04.05]
  24.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Curriculum & Instruction. 2003. Libraryguidelines.[on1ine][cited]
  25. Pennsylvania Department of education.1998. Reading instruction handbook. Pennsylvania: Pennsylvania Department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