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tical Study on Practical Examination Types for College Admission in Animation

대학의 애니메이션과 입학실기시험의 유형연구 - 서울의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최돈일 (경기대학교다중매체영상학부 애니메이션)
  • Published : 2005.10.31

Abstract

Having analysed educational goals and admission examination types in four-year colleges and reviewed those types and their particularized orientations, this study expects one would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First, the end users, high schools, are able to obtain collect information on colleges or universities for the preparedness for admission. Second, they can derive their optimum standard practical examination types fit to animation. Third, objectivity,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can be secured for college admission examinations. Finally, colleges may utilize themselves as the foundation to reinforce their specialization, providing examines with specialized information on particularized colleges.

연구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4년제 대학의 교육목표와 그에 따른 입학실기시험의 유형을 분석하여 학교별 특성화의 방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첫째 수요자인 고교에서대학의 정확한 정보를 통한 입시준비를 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애니메이션에 적합한 표준 실기시험유형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대학입시에 대한 객관성과 투명성 그리고 신뢰성을 줄 수 있다. 넷째 대학 스스로는 특성화를 강화하는 단초로 활용하며 예비자원인 수험생들에게는 차별화된 대학의 특성화 정보를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