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cient Wooden Shoes Research of Korea, China and Japan

한·중·일 삼국의 고대 나막신 연구

  • Published : 2005.12.20

Abstract

We dealt with the Wooden Shoes as a tool in the first chapter. You can doubt about the Wooden Shoes as a tool, which they were in Japan and China not Korea, strictly speaking, if they are real shoes or not. But anyway they had components of the Wooden Shoes in shape(form) or function, so it was expressed in the head part, cause of the possibility that Wooden Shoes as a tool are the previous stage of Wooden Shoes as shoes, though are not identified yet. In the second chapter, we dealt with the Wooden Shoes as shoes fundamentally. Recently, the Wooden Shoes of Shilla and Baekje were dug out each in Kyungsan-city Im-dang-dong and Buyeo-gun Neungsan-lee. Even though they were contemporary neighborhood countries, they had much differences in their forms of Wooden Shoes. While the Wooden Shoes of Baekje and the ancient Wooden Shoes of Japan are surprisingly alike. So we have tried to identify with the politic and diplomatic relation of Korea and Japan, through various literature records.

첫 번째 장에서는 도구로서의 나막신을 다루었다. 일본과 중국에는 있었고 한국에는 없었던 도구로서 나막신은 엄밀한 의미에서 신발이라고 할 수 없지 않느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소극적이기는 하나 형태나 기능에 있어 나막신의 요소를 갖추었고 아직 밝혀지진 않았으나 어쩌면 도로서의 나막신이 신발로서의 나막신의 전단계일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앞머리에 언급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신발로서의 나막신을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최근 경산시 임당동과 부여군 능산리에서 각각 신라, 백제 나막신을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최근 경산시 임당동과 부여군 능산리에서 각각 신라, 백제 나막신이 출토되었다. 동시대 인접한 국가인데도 두 나막신의 형태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반면 백제 나막신과 일본 고대 나막신은 놀랄 만큼 동일하다. 이 동일성의 원인을 여러 가지 문헌자료를 통해 고대 한 일 정치, 외교관계로 규명하려 노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