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Growth Inhibition Effect of Saponin from Red Ginseng on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s

홍삼사포닌의 일부 병원성미생물에대한 생육억제 효과

  • 곽이성 (KT&G 중앙연구원 인삼과학연구소) ;
  • 황미선 (KT&G 중앙연구원 인삼과학연구소) ;
  • 김석창 (KT&G 중앙연구원 인삼과학연구소) ;
  • 김천석 (KT&G 중앙연구원 인삼과학연구소) ;
  • 도재호 (KT&G 중앙연구원 인삼과학연구소) ;
  • 박채규 (KT&G 중앙연구원 인삼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Saponin isolated from red ginseng was added to culture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in order to investigate saponin's influence on the growth of some pathogenic bacteria and yeasts. S. aureus and C. albicans were incubated at $38^{\circ}C\;and\;28^{\circ}C$ for 5 days with 100 rpm after addition of 0.013, 0.125, 0.500 and 1.000% (w/v, final concentration) of saponin, respectively. After incubated for 1 day, 2 days or 5 days, pH and viable cell counts of the cultures were investigated. The both of pH of S. aureus and C. albicans were decreased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Viable cell counts after incubation of 5 days were $1.0\;{\times}\;10^8,\;9.4\;{\times}\;10^7,\;1.0\;{\times}\;10^3$ and 0 CFU/ml,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1.8{\times}10^8\;CFU/ml$ of saponin non-treated group. Especially, 1.0% concentration of saponin inhibited completely the growth of S. aureus. While, viable cell count in C. albicans somewhat lower values than that of saponin non-treated group, but the value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saponin inhibit the growth of S. aureu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not the growth of C. albicans.

본 연구는 홍삼엑스로부터 분리된 홍삼사포닌이 일부 병원성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 및 Candida albican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포닌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5 일 동안 배양한 후 측정된 S. aureus의 pH 는 사포닌 무첨가군 pH 8.55에 비해 0.013, 0.125, 0.5, 1.0% 첨가군에서 각각 8.35, 7.80, 6.87, 6.34로 사포닌 농도가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aureus의 성장에 미치는 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 무첨가군의 성장률을 100%로 놓았을 때 상대적으로 계산된 균의 성장률은 0.013, 0.125, 0.5, 1.0% 첨가군에서는 각각 55.56, 52.22, 0.001, 0%로 나타나서 사포닌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균의 성장이 강하게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조사포닌 0.5% 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의 생육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병원성 효모인 C. albicans의 pH도 사포닌 무첨가군 pH 5.97에서 사포닌 첨가시 pH 5.83-5.60으로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각 첨가군과 성장률을 비교하였을 경우 사포닌 0.013, 0.125, 0.5, 1.0% 첨가군은 각각 50.0, 50.0, 37.5, 25.0%의 성장율을 나타내어 S. aureus와 마찬가지로 사포닌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성장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C. albicans의 생균수는 무첨가군 $8.0{\times}10^7\;CFU/ml$에 비해 사포닌 첨가군 모두에서 $2.0-4.0{\times}10^7\;CFU/ml$으로 무첨가군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포닌은 0.13% 이상의 농도에서 병원성효모 C. albicans 보다는 세균인 S. aureus의 성장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홍삼사포닌은 진균류인 효모보다는 세균에 대해 더욱 큰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설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윤: 식품산업에서 생약자원의 활용과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5(3), 21-26 (2000)
  2. 이진만, 이상한, 김환묵: 약용식품으로 한약재의 이용. 식품산업과 영양 5(1), 50-56 (2000)
  3. 남성희 : 인삼성분이 초산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p. 27-30 (1979)
  4. 조대휘, 오승환, 유연현, 유태종 : Fusarium solani와 Phytophthora cactorum이 고려인삼의 사포닌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J. Ginseng Res. 10(1), 180-189 (1986)
  5. Kim, S.K., Kwak, Y.S., Kim, S.W., Hwang, S.Y., Ko, Y.S. and Yoo, C.M : Improve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 J. Ginseng Res. 22, 155-160 (1998)
  6. Kwak, Y.S. and Chang, J.K. : Effect of various sterilization methods on growth of microorganism contaminated in ginseng powder. J. Fd Hyg. Safety. 16(3), 221-226 (2001)
  7. Beach, F.W. and Davenport, R.R. : Methods in Microbiology. Vol.4, pp.153,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1971)
  8. Kwak, Y.S., Lee, J.T and Yeo, W.H. : An identification of Enterobca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and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its growth. J. Fd. Hyg. safety. 17(1), 26-30 (2002)
  9. Park, C.S. and Ohh, S.H. : Effect of crude ginseng saponin and raw ginseng juice on the growth of ginseng root rot organisms, Fusarium solani and Erwinia carotovora. Korean J. Pl. Prot. 20(1), 1-5 (1981)

Cited by

  1.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Compounds from Korea Ginseng Fine Root vol.21, pp.9, 2011, https://doi.org/10.5352/JLS.2011.21.9.1244
  2.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s on the Qualities of Low Salt and Low Fat Pork Sausage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851/kosfa.2011.31.4.588
  3.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vol.41, pp.3,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3.320
  4.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ld and Cultivated Lactuca indica vol.41, pp.4,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4.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