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자의 경로집중도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anufacturer's Degree of Channel Concentration

  • Pyun, Hae-Soo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gang University) ;
  • Lim, Chae-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gang University)
  • 발행 : 2006.01.31

초록

본 연구는 전략적 관점에서 선택과 집중의 이슈를 복수유통경로 상황에 적용하여 복수유통경로를 활용하는 제조업자의 경로집중도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경로집중도의 개념을 도입하고, 경로집중도 개념에 대한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경로관리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수유통경로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거래비용이론과 시장지배력이론을 검토하고 적용하여 복수유통경로구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수유통경로상에서 경로관리전략을 수립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매, 국내 소비재 제조기업 표본 248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and test a empirical model for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anufacturer's degree of channel concentration in multiple channels from strateg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 suggested new concept of channel concentration based on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the measurement index of channel concentration. Second, I examined and applied the transaction cost theory and market power theory to provide broad understanding of multiple channel structure and to explain it. Finally, I present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o the firms that build up channel strategy under multiple channel contexts on this research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ese goals, eight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248 data were collected as samples, and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Empirical findings strongly support that strategic management of distribution channel especially are important in multiple channels. The overal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presented, and limits and further study direction were discussed as a fin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