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심미적 영향요소인 단순/복잡, 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plicity/Complexity and Balance of Product Aesthetic Factors

  • 조광수 (전북대학교 디자인제조공학과) ;
  • 김태호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발행 : 2006.05.31

초록

본 연구는 제품 심미성을 바탕으로 하며, 기존에 연구된 여러 연구들과 달리 심미성 차원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변화에 따라 선호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험을 통해 여러 심미성 요소들 중 단순/복잡과 균형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이용 시중에 사용되는 제품들을 FCB Grid를 통해 4개의 그룹으로 묶었다. 이후 이들에 각 그룹을 대표하는 2개의 제품을 선정 하였고 이들의 전형적 모델을 찾았다. 이 전형적 모델을 가지고 단순/복잡과 균형만을 가지고 변화를 시켜 자극물들을 제작하였으며, 이렇게 제작한 자극물을 가지고 단순/복잡, 균형 그리고 선호도의 관계를 증명 하였다. 또한 선호도의 정도값 변화를 측정하여, 디자인 개발 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차후 연구로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여러 심미적 차원들 간의 관계를 증명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has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aesthetic dimensions, on the basis of product aesthetic and how these consumer preferences change according to changes of these dimensions. For this research, the factors of simplicity/complexity and balance among many aesthetic elements were chosen through experiment, and products which are on the market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with the FCB Grid. Two products of each respective category were selected and a typical model was chosen for each other. These models were changed only with the factors of simplicity/complexity and balance, in order to make a show-card. The relationships between simplicity/complexity, balance, and consumer preferences has been proven with the show-card. The measured value change of consumer preferences will be provided for design development as basic data.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aesthetic dimensions will improve through consistent resear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