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ifestyle as a Basic Curriculum for Design Education

디자인교육을 위한 기초교과목으로서 라이프스타일 연구

  • 문금희 (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Modern design has to be satisfied to user in various social class. Therefore a study of lifestyle is vary important as a basic of design. The logical starting point to grasp the user's needs is begun by consumer analysis. There are many methods of consumer analysis, In them, the study of lifestyle is extremely much used for understanding consumer who is classified with groups. Basic education of design have to teach knowledge and ability which is to be a groundwork for designer. The study of lifestyle is not a purpose itself but one of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requested for design. By induding practical techniques and theory, theory can be achieved through practical techniques and the meaning of theory itself could be recalled. The value of this study is in the suggestion which is the way of approach to research and to study for oneself, by introduce the study through conceptual approach for lifestyle into basic desig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tudy of lifestyle, let students have the theoretical knowledge which is concept of lifestyle, modern social form, consumer culture, the way of using lifestyle and theorizing lifestyle, etc, And after, let students make teams for the study of lifestyle for oneself. Every team creates the subject and studies lifestyle of each social dass by the practical way such as Inquiry, observation and interview etc. As a result they have to make a report after the form of paper and let them have a presentation in each team. Students can understand lifestyle through this process not only theoretical but also practical and can be earned an ability for apply to business.

현대의 디자인은 여러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를 만족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각 계층의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하는 것은 디자인의 기초로서 매우 중요하다.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논리적 출발점은 소비자분석으로부터 시작된다. 소비자분석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에서 라이프스타일 연구가 소비자를 집단으로 나누어 이해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디자인의 기초교육은 디자이너로서 바탕이 되는 지식과 능력을 가르치는 일이어야 한다. 라이프스타일 연구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디자인하는데 요구되는 제반 이론적 지식 중 하나이다. 실기와 이론을 디자인교과로 포괄함으로써 실기를 통해 이론을 습득함과 더불어 이론 본래의 의미를 되살릴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통한 학습을 디자인 기초교육 프로그램에 도입함으로써 스스로 탐구하고 연구하는 접근방식을 제시하는데 있다. 라이프스타일 연구를 위해 라이프스타일의 개념, 현대적 사회형태, 소비문화, 생활양식 용법 및 생활양식의 이론화 등의 이론적 지식을 갖추게 한다. 또한 학생들 스스로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할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하고 각 팀별 연구주제를 설정한 후 실제적인 방법들 -설문조사, 관찰 및 면담 등- 을 통해 각 계층의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한 후 소논문의 양식에 따라 보고서를 만들고 각 팀별로 프리젠테이션 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을 이론만이 아닌 실질적으로 이해하게 되고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