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Classifying the 'Sijochang', or Korean Ode Narrative Song

시조창 분류고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the classification of 'Sijochang', or the Korean ode narrative song, in terms of music. Contrary to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by the number of letters, sijochang varies with the melody. Literally, the classification is generally made as Dansijo(or short ode) Jungsijo(or medium ode) and Jangsijo(or lengthy ode) but the sijochang is normally divided into 'Pyongsijo' (or plain ode), 'Jirumsijo and Saseolsijo'. As while the same Sijochang is called under the different names, the different type of sijochang is also called as the same name, it needs the discussion about its name. Some Korean classical musicians have attempted to define it but they are trying to do it without the specific reasoning about its concept. As a result, the systematic research is required. This study designs to streamline the currently confusing and complex names and set up the sijo's classification system. After reviewing the ancient music note, current sijo score and the traditional theory, I largely classified it into 3 types: Pyongsijo, Jirumsijo and Saseolsijo. And then, 1 analyzed on to which type the sijochang which is presently called belongs, based on several principles. The 67 names of the sijo which I have investigated about are classified with them sharpy reduced into 16. Among the current sijo names. there are some which are of same type yet of different phonetics and there are others which are of different phonetics yet of same type. To avoid such complex and troublesome names, I have orchestrated them as follows, taking the literary and music concept into account. 1) Pyongsijo type : Pyongsijo, Joongherisijo, Wujosijo and Payeonkok 2) Jirumsijo type: Jirumsiro, Namchangjirumsijo(it refers to Jirumsijo sung by male ), Yeochangjirumsijo (it refers to Jirumsijo sung by female), Banjirumsijo(it refers to half the Jiumsiro), Onjirumsijo (it refers to the whole Jirumsijo), Wujojr\irumsijo, Saseoljirumsijo and Whimorisijo) 3) Saseolsijo type : Saseolsijo, Bansaseolsijo(it refers to half the Saseolsijo, Gaksijo or Pyongsiro There are still lots of things to musically streamline, in the fields of disposition of Sijo letters, its form, musical scale and influences on other genre. etc. and as such. the accumulation of theory on them is urgently required. Those musical elements need an in-depth review and study by the experts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Later research is expected to play a role of exploring it.

본고는 음악상으로서의 시조 분류이다. 잣수에 의한 문학상 분류와는 달리 시조창은 선율에 따라 달라진다. 문학상으로는 단시조 중시조 장시조의 분류가 일반적이나 시조창은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로의 분류가 일반적이다. 같은 시조창이면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경우가 있고 다른 종류이면서 같은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시조창의 명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에 놓여있다. 몇몇 국악인들에 의해 시도는 되고 있으나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고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의 번다한 명칭들을 정리하고 시조의 분류 체계를 세우고자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필자는 고악보와 현행 시조보, 기존 이론을 검토, 평시조 계열 지름시조 계열 사설시조 계열로 일단 3대별하고 여기에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시조창들이 어떤 계열에 속하는 것인가를 몇 가지 원칙에 의해 분류해보았다. 필자가 조사한 현행 시조 명칭 67가지를 필요한 16개의 명칭으로 줄여 분류했다. 이는 현재 불리워지고 있는 명칭들이 같은 시조이면서 표음이 다른 것도 있고 다른 시조이면서 같은 명칭으로 불리워지는 것들도 있다. 이의 복잡, 번다함을 피하기 위해 문학과 음악상의 개념을 고려, 일부 용어들을 정리했다. 1) 평시조 계열 : 평시조, 중허리 시조, 우조시조, 파연곡 2) 지름시조 계열 : 지름시조, 남창지름시조, 여창지름시조, 반지름시조, 온지름시조, 우조지름시조, 사설지름시조, 휘몰이 시조 3) 사설시조 계열 : 사설시조, 반사설시조, 각시조, 좀는 평시조 아직도 배자, 형태, 음계, 타장르와의 영향 관계 등 적지 않은 음악상의 작업들이 남아있고 그에 대한 이론 축척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음악적인 부분들은 전문가, 국악인들의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차후의 논문을 기대할 수밖에 없음을 밝혀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