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Regional Innovation Potential for Establish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의 혁신 잠재력 분석

  • 고석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부) ;
  • 김학민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정학부) ;
  • 김성종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부)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This study calculates comprehensive regional innovation potentials of the 16 provincial governments of Korea based on the 20 indices from 3 fields such as regional innovation infrastructure,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and regional innovation performance. Except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regional innovation grant program, there are disparities of the 3 innovation fields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non-Seoul areas. In some local provinces where the comprehensive innovation capacities are low, there are significant disparities among the 3 innovation fields. These provinci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a policy to adjust the disparities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innovat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6개 광역자치단체별 지역 혁신 잠재력을 분석하고자 지역혁신기반, 지역혁신활동, 지역혁신성과 등 3개 분야를 20개 지표에 의해 산출하였고, 이를 총괄한 종합 혁신 잠재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지역혁신기반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격차는 연구기반과 정보기반에서도 발견되었다. 3개 분야 모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불균형 격차가 큰 반면, 정부의 지역혁신 지원 사업에 기인한 지역혁신활동은 비교적 균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혁신 잠재력이 낮은 일부 지역의 경우 3개 분야 간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지원이 뒷받침되어야만 지역혁신이 성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첨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식기반산업과 지방정보산업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면서 연구 인력이 지방에 정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