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im of Policies for Activating Practical Digital Sound Contents

실용적인 디지털 사운드 콘텐츠의 활성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 이은희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long with technology development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diverse contents. Among others, the role of music contents is now extended to be applicable to the overall cultural contents thus, the market is growing at a rapid speed. As the music market transforms from the record market to the digital music source market,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techniques of digital sound contents become different. Likewise, the music industry has been dynamically changed and came to even demand a paradigm shift in the music 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ed to contemplate additional on-going issues for developing the music industry, such as national policy and support, amendment of related laws, and public awareness, and to suggest an aim to head for.

테크놀러지의 발전에 따른 대중매체의 발달은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그 중 음악콘텐츠는 이제 문화콘텐츠 전반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어 그 시장 또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음악시장이 음반중심에서 디지털 음원시장으로 변화하면서 디지털 사운드콘텐츠의 창작, 유통, 마케팅의 방법이 달라지고 있으며 이렇듯 음악 산업 환경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음악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가적 정책과 지완 법률의 개정, 국민적 인식 둥 음악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사항들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