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rt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Cartoon - Centering on the field of modeling in the period from the early 1900's till 1945 -

한국근대만화의 예술적 특징에 관한 연구 - 1900년대 초부터 1945년까지 작품의 조형적 측면을 중심으로 -

  • 김종옥 (상명대학교 예술 디자인대학원 만화영상과)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On this treatise ,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a cartoon secured it's position as new popular media of popular culture in Korean modern socie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ing the social meaning of cartoon for formulating historical position of Korean cartoon. For a cartoon expand the sphere of research as a study, and secure the position as a unique popular culture genre in Korean society , we need to consider and ensure historical position which Korean cartoon had from the quickening period of it. As a visual culture, a cartoon realized stately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media at that society which had high illiteracy rate. In this upheaval at Korean society , the appearance of modern cartoon had became very important measure of propaganda and education for enlightened intellectuals who had enlightened the people and endeavored to regain sovereignty. Conversely, it also had became a measure of pro-Japanese. Also, it was important measure of securing a reader to a publishing company managed a media for commercial gain. Therefore, on this thesis, we judged that the quickening period of Korean cartoon is from the early 1900's (an occupation period of Japan) till 1945 (the day of liberation), and found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artoon on basis of this period.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사회 대중문화의 신총아(新寵兒)로 자리매김 된 만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사회적 의미를 밝혀 한국만화의 역사적 위상 정립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만화가 학문으로서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한국 사회 속에서 독특한 대중문화장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태동기부터 한국만화가 갖는 역사적 위상을 고찰하고 정립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만화는 시각문화로 문맹률 높던 근대한국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목적을 훌륭하게 실현한 장르였다. 이 시기 근대만화의 등장은 격변기(激變期) 대중을 계도(棨導)하며 주권회복운동을 펼쳐 나갔던 개화파 지식인들에게 중요한 선전 ${\cdot}$ 교육의 도구였으며, 역으로 친일의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또 영리를 목적으로 매체를 운영하던 신문사(출판사)들에게는 중요한 독자 확보의 수단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1900년대 초반부터 1945년 일제강점기에서 해방을 맞는 시기까지를 한국만화의 태동기로 보고 그 특징을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