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ory Research on Creative Director's Core Competence in an Ad Agency

광고회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핵심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오창일 (서울예술대학 광고창작과) ;
  • 이현우 (동의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ring to the center of focus, the ad creativity, which in turn can generate the highest advertising effects. The study excludes external factors such as personal relationships, academic network and lobbying powers which were prevalent in the Korean situation. A transformational leader can influence charisma, inspir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performance goal.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core competence that a C.D. may always want to possess at present as well as in the future is to "motivate inspiration". Charisma may be an ability currently in need but this may not necessarily be so in the future. It may be predicted that a softer quality, which is knowledge-based, that provides intellectual stimulation may be a more valued characteristic.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 the increasingly diversifying society of the future, charisma may be a barrier to enhancing creativity. In times of uncertainty and ambiguity, innovative ideas bring economic rewards (Cockayne, 2004). There may be conflicts of views and opinions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urning these into positive outcome to produce innovative ideas, may be an area of further study. However, there must have been studies where informal networking has produced innovative ideas. Therefore, a transformational leader of an organization needs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informal networking within his team.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광고의 상황 논리라고 할 수 있는 광고 외적 변수를 배재하고, 최상의 광고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크리에이티브 품질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의 영향력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다. 변혁적 리더는 카리스마(charisma), 영감(inspiration), 지적 자극(intellectual stimulation), 개인 배려(individual consideration), 창작물 목표(performance goal) 등에서 영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연구문제를 두었다. 연구 결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의 '영감 유발' 능력은 현재나 미래나 언제나 갖고 싶은 역랑이며 보완해야 할 역량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는 현재에는 필요하지만 미래에는 반드시 필요한 가치가 아니라는 평가도 도출되었다. 오히려 '지적 자극'이라는 보다 소프트하고 지식 정보화된 역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는 미래의 다양성 사회에서는 창의력 향상에 장애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었다. 불확실성 시대와 모호성 시대에 아이디어의 혁신은 경제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다 (Cockayne, 2004). 따라서 개인과 조직의 크리에이티브 능력에서 상호 충돌의 문제와 비공식적 조직에서의 혁신 아이디어의 발생에 관한 연구도 요구된다. 또한 혁신적 리더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의 역동성에 관한 문제도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