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New Appreciation of Cultural Industry and the Role of Design Policies

문화산업에 대한 재인식과 디자인 정책의 역할 연구

  • Jeong, Bong-Keum (Carnegie Mellon Univers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 and School of Design)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Design, to all of us living in the 21st century, is not just an action that revs up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an added value of an industry, but it is recognized as a broader social and cultural action i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role of design as a principal body producing culture, and to proclaim that design itself has to have self-sufficiency as culture. The study starts from a hypothesis that the action of design should be at the core of cultural industry. The study includes studying the documents on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case studies of cultural industry and design policies for macro view. Comparative research and analysis of how designers from three countries, Korea, United States and England, perceive policies is a microscopic part of this study. The methods for this study include survey for quantitative research in Korea, United States and England, and intensive interviews for qualitative research to explain past fact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esign policies. The survey compares design professionals of three countries, and the intensive interviews are done with manager level design professionals who are both decision makers and policy makers. On order to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rvey structure, three pilot studies and a pre-test were carried out. As shown in the verification of the subject of study, if, in the cultural industry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blossom of 20th century, the blind running without intervention of reason still keeps its former state and is unable to go beyond history, we will not be able to enter the age of mentality and fall behind. The value of design that we shall judge depends on the dialectic of 'past' and 'present' regarding the principle of enlightenment, and it will open up a new philosophy, a new civilization and a new world.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디자인은 더 이상 산업적 부가 가치로서 생산과 소비를 활성화하는 행위가 아니라 보다 넓은 사회적 문화적 실천행위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생산의 주체적 발신자로서 디자인 역할의 확대와 디자인 그 자체가 문화로서의 자족성을 가져야 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문화산업의 중심에는 무엇보다도 디자인 행위가 있어야 할 것이라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한다. 연구의 범위는 거시적으로 문화산업과 디자인 정책에 대한 문헌연구 및 현황과 사례분석, 그리고 미시적으로 한국 미국 영국이라는 3개국 디자이너의 정책인식에 대한 비교조사 및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조사의 방법은 한국 미국 영국에서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디자인 정책의 과거 사실뿐만 아니라 현재의 현상에 대해서도 설명하고자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로서 심층면접(intensive interview)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는 3개국의 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비교하였으며, 심층면접은 한국에서 의사결정권을 가진 관리자급의 디자인 전문가 및 정책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를 위한 설문지가 적절하게 설계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차에 걸친 예비조사(pilot study)와 사전검사(pre-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에서도 확인하였듯이, 한국이 20세기의 꽃으로 등장했던 문화산업 등에서 도구적 이성의 견제 없는 질주가 여전히 역사성을 넘어서지 못하고 현재성을 지니게 된다면, 우리는 정신의 시대에 진입하지 못하고 낙후된 주변국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1세기 문화산업에서 우리가 판단하게 될 디자인의 가치는 계몽의 원리에 대한 '역사성'과 '현재성'의 변증법에 달려있는 것이며, 새로운 철학, 새로운 문명,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