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s response according to the expressive method of the form which is expressed on the picture book Illustration.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형태의 표현유형에 따른 어린이의 반응 연구

  • 유동관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디자인)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Among many modelling factors which consist of a screen, a form brings a child's psychological response, according to its being drawn and expressed shape, and would be defined as a visual descriptive method which transmits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background by a story content and the circumstance and emotion of characters in the story. In this study, to analyze how an expressed form on a screen works to a child visually and psychologically, I, first have examined how differently a child's perception development and its experience to the form is come out by the age of a child, and have found that it influences on a child's originality and creativity development, visual and psychological thinking development, and the stimulation on dream and imagination. And I have examined each characteristic by discriminating the expressive style of the form into a reproductive, a simplified, an exaggerated and a distorted form expression, and by utilizing it as substantiative data through the 1st and 2nd stage, have analyzed responses and preferences according to a style of a child's expression form. In conclusion, I have considered that the analysis result through the substantiative study would be a help not only to the form expression which is based on an illustrator's personality and creativity, and also would be utilized in the effective expression method study and experiment of students who learns the illustration.

화면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조형요소 중에서 형태는 그려지고 표현된 모양에 따라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이야기내용에 따른 주제와 배경의 관계,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감정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진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화면에 표현된 형태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린이에게 어떻게 작용 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형태에 대한 어린이의 지각발달과 지각경험이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어린이의 독창성과 창의성발달, 시각적, 심리적 사고발달, 그리고 꿈과 상상력 자극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형태의 표현형식을 재현적 형태표현, 단순화된 형태표현, 과장된 형태표현, 왜곡된 형태표현으로 각각 구분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1, 2차에 걸쳐 진행되는 설문자료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표현 형태별 유형에 따른 반응과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어린이의 반응분석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형태표현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 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