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by Butterfly Image -Focused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Nubi by Watersoluble Paper-

나비의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수용성부직포에 의한 누비 응용기법을 중심으로-

  • 허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 김혜연 (이화여자대학교)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re are many paintings describing butterfly in a folk story or old story but the word of Nabby is showed up because korea culture is subject to a Chinese character culture area. the word of Nabby is originated from flying features of nabby. It was expressed to an Hoju(胡蝶:swallowtail) or Hwangjub(黃蝶:yellow butterfly) in old book, Nabby or Naboi in Dusiunhae(杜詩諺解) issued in 1481, Naboi in Hunmonjahoe(訓夢字會) issued in 1527 and Nami in Simongunhaemungmyung(時夢諺解物名) issued in Sookjong dynasty(1675$\sim$1720). After that it was called Nabeui or Nabby and Nabby became the standard language but it is still called Nabbo or Nabbe in some provinces. The butterfly have been called as jewelry spread out through the world and people have been attracted by its meaning (love, pleasure, luck, long life and eternity) and its beautiful figure so that they have collected poems and paintings about it to appreciate its beauty or have made craft works and personal ornaments of it.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hape and color of the using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nubi, which is used as expression method in this research, is suitable to express the beauty of butterfly's shape and the nerve of its wings and the basic material, which is light and have good drape, was used to easily express the rhythmical movement of butterfly's flapping. And thus,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at the above expression method is suitable to express the beautiful expression of butterfly's image and have unlimited potential energy for developing designs. Results showed that the soft outline of butterfly's wings can coincide with the linear shape of human body.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ubi method could be diversified as material expression method and the Haute Couture luxurious work could be developed by applying the mixed nubi method to costumes.

민화나 고화에 많이 등장하는 호랑나비나 제비나비형태의 그림은 다수 있지만 한자 문화권이라 그런지 '나비'라는 말은 늦게 나타난다. 나비라는 말은 나불나불 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고서에 호접(胡蝶:범나비), 황접(黃蝶:노랑나비) 등으로 나타나다가 1481년에 나온 두시언해(杜詩諺解)에서 나비 또는 나뵈로, 1527년에 나온 훈몽자회(訓夢字會)에는 나뵈로, 숙종 시대(1675$\sim$1720)에 나온 시몽언해물명(時夢諺解物名)에는 남이로 나온다. 그 후로는 나?????? 또는 나비로 불러오다가 현재 나비가 표준말이 되어 쓰여 지고 있다. 아직도 지방에 따라서는 나부 또는 나베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나비는 연인의 사랑 기쁨 행운 장수 영원 등의 의미와 아름다운 자태에 마음이 끌려 예로부터 시와 그림으로 표현되어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거나, 공예품, 장신구등에 응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나비의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고 수용성 부직포를 이용한 누비 응용기법을 적용하여 나비의 형태미, 날개시맥의 섬세한 조형미를 표현하였으며 가볍고 드레이프성이 좋은 기본소재를 사용함으로서 나비의 날개 짓이 주는 율동적 움직임을 용이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기의 표현 기법이 나비 이미지의 미적표현에 적합함과 아울러 디자인 전개에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나비 날개 윤곽선의 부드러운 곡선은 인체의 선적 조형미에 잘 부합되어 의상과 인체가 조화롭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누비 응용 기법이 가진 특성들이 소재 표현기법으로 다양화 될 수 있음을 깨달았으며 누비 기법의 응용을 통한 혼합기법이 의상에 적용됨으로서 오뜨 꾸뛰르(Haute Couture) 적인 고급스러운 작품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