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가지 영상의 교차개념을 도입한 영상설치작품 - 상 공간의 틈새2 -

An image used by cross concept of two images - Gap of image space2 -

  • 조옥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이준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김형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Cho Ok-Hue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 Lee Jun-Eui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 Kim Hyung-Gi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2006.08.01

초록

본 작품은 jitter의 multiplex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아트작품으로 두 가지 영상의 cross concept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영상 설치 작품이다. 평면스크린이 아닌 형광등을 이용하여 특수 제작한 스크린을 통해, 형광등에 비춰지는 영상과 그 틈새로 벽에 비춰지는 두 가지 영상을 보여주게 된다. 실시간으로 카메라에 의해 받아들여진 관객의 모습과 제작해 놓은 두 가지 영상은 jitter의 multiplex기능에 의한 합성과정을 거쳐 형광등 스크린에만, 또는 벽에만 비춰지게 된다. 한 영상이지만 관객의 모습은 벽과 형광등을 오가며 관객을 혼란에 빠트리게 된다. 제작한 영상과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관객의 두 가지 모습은 상반, 또는 병치의 느낌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게 되며 그것은 인간의 이중성을 표현하게 되는 동시에 물리적인 존재공간과 우리가 느끼는 시각적 공간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지배 문법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게 된다. 퍼스펙티브와 환경에 의해 왜곡되는 영상재현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형광등으로 제작한 스크린과 cross concept의 영상을 제작 사용하였다.

This work is a interactive digital art work which used the multiplex of jitter. It is an work which used a cross concept of two images. This work shows two kinds of images. One is on the wall through the gap of fluorescent lamp screen, and the other is on the fluorescent lamp screen. Two images are intercepted and comes out to the length as the multiplex of the jitter. The appearance of the spectator be recognized on the fluorescent lamp screen or on the wall, by two branch image which comes out intersecting of a length with multiplex function of the jitter. Two branch features of the image which it produces and the spectator which is input at real-time is equally divided, or in impression of juxtaposition goes in the spectator. It expresses the duplicity of the human being, with physical existence space divides the time space which we feel and there is a governing grammar which is different with each other and to express the thing it becomes. It used the image of the screen which it produces with the fluorescent lamp and cross concep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