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ood Culture of Chinese Poetry in the Latterly Chosun Dynasty - Focused on Korean Customs Poetry -

조선후기 한시(漢詩)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 기속시(紀俗詩)를 중심으로 -

  • 김미혜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through the written folk poetries which were described vividly the life customs peculiar to the Nation and so much that were Korean National customs papers written by Chinese poetry -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period. It is used the way which is studied by the literature after collection, analysis, synthesis the analyzed second material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period's written folk poetries. It is summarized to below five cont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through the written folk poetries. The first is the various and abundant food culture. The second, that is the food culture of praying blessing and praying a fruitful. The people prayed to be a year of abundance of food stuff and train oneself and have medicine for their health, but there has been repeated seasonably an occult action for being blessing which had settled down to the beginning of the year's customs. The third, it is the food culture of share tender feeling with among the people. The fourth, it is the food culture of business and economy's growth image. The fifth, it is the food culture of an image of economic distress and the trouble between rich and poor.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관. 2002. 조선후기 한시와 회화의 교섭-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 연구, 30(0):299
  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한국 민속의 세계 제5권. 창작마을. 서울. p 225
  3.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조선후기 문집편. 민속원. 서울
  4. 김경미. 1987. 대보름 풍속시 상원리곡(上元俚曲) 25首에 대하여. 우리문학연구6. 7:144-167
  5. 김명순. 1994. 조선후기 서울의 풍속 세태를 다룬 기속시 연구.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 10:149-150
  6. 김명순. 1997. 홍석모의 도하세시기속시 연구. 대동한문학회. 대동한문학 9(0): 240-242
  7. 김명순. 1998. 조수삼의 기속시 연구. 동방한문학회. 동방한문학 14(0): 210-212
  8. 김명순. 2005. 조선후기 한시의 민풍수용연구. 보고사. 서울. pp 15-23
  9. 김상홍. 2003. 조선조 한문학의 조명. 이회문화사. 서울. pp461-512
  10. 김향희, 황춘선. 1991. 한국 절식의 여행실태에 관한 지역별 비교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6(2): 155-173
  11. 방현아. 1994. 강이천과 한경사. 민족문화사연구, 5(0): 194-224
  12. 배영희. 1995. 무가에 나타난 수 '구'의 상징성, 한국민속학회, 5(0): 67-92
  13. 서형주. 1999. 유만공의 세시풍요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pp 1-8
  14. 오세영, 이헌. 2004. 한국인이 공동체의식과 식문화에 대한 소고.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5):556-565
  15. 이관성. 2003. 도애 홍석모의 한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p 115-137
  16.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17. 이정선. 2002. 조선후기 조선풍 한시 연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9-11
  18. 임기중 역주. 유만공 원저. 1993. 우리 세시풍속의 노래. 집문당. 서울. p 269
  19. 임양순. 1986. 우리나라 절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 361-370
  20. 정혜경. 1996. 서울의 음식문화-영양학과 인류학의 만남. 서울학연구소. 서울. p 48
  21. 조동일. 2005.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서울. pp 224-232
  22. 조후종. 1996. 우리나라의 명절음식 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4):547-559
  23. 최상진. 유승엽. 1994. 한국인과 일본인의'情'에 관한 심리학적 비교 분석. 인문학 연구, 21(0):139-144
  24. Jeremy MacClancy. 1992. Consuming Culture. Chapmans. London. pp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