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ertiarization in Korea: Test of Baumol's Hypothesis

한국의 서비스화에 대한 연구: Baumol 가설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Using a panel data of Korea for $1979{\sim}200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the service sector employment share in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macroeconomic factors on the service sector's employment share we estimate a simple panel model which is in line with Baumol's model. The panel GMM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1) The increase in the share of service-related jobs in total employment tends to rise with GDP per capita, which confirms demand-bias hypothesis proposed by Clark. 2) We find that a crucial role in this process has been played by the productivity gap. As Baumol's hypothesis or Baumolis disease,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share in services relative to industry is the direct consequence of services' lower productivity performanc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비스화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비스화에 대한 유력한 설명인 수요편향가설 및 Baumol 가설을 우리나라 경험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Baumol의 모형을 확장하여 패널 GMM방식으로 고용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lark의 수요편향가설을 살펴보기 위하여 1인당 GDP증가와 서비스고용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비스화에 있어 소득증가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Clark의 수요편향가설을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서비스화에 있어서 생산성격차를 강조하는 Baumol의 가설은 도소매, 음식 및 숙박서비스를 제외하고 모든 서비스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제조업과 각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격차가 확대될수록 서비스업의 고용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