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gnitive Aspect of Optional Subjecthood in English

영어의 수의적 주어 현상의 인지적 양상

  • Sohng, Hong-Ki (Dep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Humanities, Hanyang University) ;
  • Moon, Seung-Chul (Department of English Hankuk Aviation University)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English language has developed from a language with optional subjecthood Into a language with obligatory subjecthood due to a general reduction of inflections. Two types of subject omission, pro-drop and conjunction reduction, have been reported in the history of English. Old English with rich inflections had both referential pro-drop and conjunction reduction. Middle English with much lesser inflections still witnessed pro-drop and conjunction reduction, but in such a decreasing way that modern English with a loss of inflections developed from Middle English hardly has either pro-drop or conjunction reduction. This paper explores both the phenomena relating to optional subjecthood in Old, Middle, and Modern English in light of the cognitive processes of the universal, hierarchical constraints that are assumed to be inherent in English speakers' cognitive fatuity. It is found that optional subjecthood in Old, Middle, and Modern English is correctly raptured in terms of the distinct rankings of the proposed constraints, and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whether each of Old, Middle, and Modern English has rich inflections.

이 논문의 목표는 첫째, 고대, 중세, 현대 영어에 나타나는 수의적 주어 현상을 다양한 문헌에 기초하여 기술적으로 자세히 고찰하고 역사적 변화에 대한 동기를 살펴보며, 둘째, 최근 영어사 연구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인지적 제약(constraints)에 기반하여 수의적 주어 현상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원리적인 설명을 하는 것이다. 영어사에서 두 유형의 주어 생략-영 주어(pro) 탈락과 등위절 주어-이 고대, 중세, 및 현대 영어에 나타났는데, 고대 영어는 풍부한 굴절 체계의 영향으로 영주어 탈락과 등위절 주어 생략이 다 같이 나타났고, 굴절이 많이 약화된 중세영어에는 여전히 이 두 현상이 나타났으나 발생정도가 점점 감소 추세였으며, 따라서 소유격과 대명사를 제외하고는 굴절이 상실된 현대 영어에서는 영주어 탈락과 등위절 주어 생략 그 자체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영어발달사적 관점에서 고대, 중세, 현대 영어의 주어 생략현상이 문법적 측면에서 세 가지 제약들의 위계(hierarchy) 변화로 발생하였고, 형태적 측면에서는 굴절체계의 변화로 발생하였음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