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Control Study on Social Risk Factors of Stroke in Korea

뇌졸중의 사회적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 Kim, Jo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u, Byeong-Chan (Department of Medical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Choi, Sun-Mi (Department of Medical Research,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An, Jung-J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Jo, Hyun-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oo, Ho-Rh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Yoon-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김종원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유병찬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최선미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안정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조현경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유호룡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김윤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2.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risk factors on each stroke type. We recruited at the Stroke Medical Center in Daejeon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July 2005 to March 2007 for this study. We divided 217 patients with acute stroke within 2 weeks as the case group(Cases), 146 people without major risk factor as the healthy control group(Normals), and 160 people as the general control group(Controls). We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with or without spouse, education periods, religion, psychologic stress, and the odds ratio of each social risk factors by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influence of social risk factors upon each stroke type, without spouse may be risk factor of ischemic stroke, and the undereducated may be risk factor of hemorrhagic stroke and ischemic stroke. But religion and psychologic stres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stroke.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서울, 중앙문화사, p 263, 2001
  2. 김영석. 임상중풍학. 서울, 서원당, pp 303-308, 1997
  3. 최은정, 이원철.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상태와 기능회복과의 상관관계.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6(2):167-190, 1998
  4. 부송아, 고성규, 정용수, 박경훈. 뇌졸중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한방내과학회지 22(3):423-430, 2001
  5. 손동혁, 장인수, 유경숙, 이진구, 윤희식, 이영구 등. 급성기 뇌줄중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1(2):203-212, 2000
  6. 김경선, 김행진, 김용진, 전홍열, 홍석, 김종석 등. 재발된 뇌줄중 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3(4):669-678, 2002
  7. 서창훈, 권정남, 김영균. 중풍 환자의 예후에 관한 임상적 고 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1(1):147-155, 2000
  8. 정선주, 김종성, 이창화. 뇌졸중 선행인자; 위험인자의 변동, 선행된 감염, 추위에의 노출, 정신적 스트레스의 역할. 대한신경과학회지 16(5):609-615, 1998
  9. 이유미, 이태용, 윤수진, 지선하. 백혈구 수치와 뇌졸중 발생에 관한 전향적 Cohort 연구. 대한뇌졸중학회지 7(1):46-54, 2005
  10. 최동준, 한창호, 현진오, 신원용, 김용형, 강아미 등. 급성기 중풍환자에서 음주습관이 중풍의 발생양상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8(1):92-96, 2007
  11. 김승은, 김도형, 윤성우, 고창남. 사상체질에 따른 뇌혈관질환 위험인자의 분포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2(3):379-382, 2001
  12. 황민우, 이태규, 이수경, 송일병, 최봉근, 고병희. 사상체질에 따른 허혈성 뇌졸중 환자-대조군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7(1):118-129, 2006
  13. 신건민, 이동국, 이상도, 서정규, 박영춘. 뇌졸중의 위험인자 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6(2):218-227, 1998
  14. 윤신구, 방차옥, 성기범, 박형국, 신현길. 첫 번째 뇌졸중 환자 에서 무증상 뇌경색: 뇌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위험인자. 대한신경과학회지 14(1):42-45, 1996
  15. Feigin, V.L., Lawes, C.M., Bennett, D.A., Anderson, C.S. Stroke epidemiology; a review of population-based studies of incidence, prevalence and case-fatality in the late 20th century. Lancet Neurol 2: 43-53, 2003 https://doi.org/10.1016/S1474-4422(03)00266-7
  16. 통계청. 사망통계연보. 2006
  17. 전범석, 조상현, 황병용, 황성수. 신경과학. 서울, 한미의학, p 174, 2002
  18. 박종구, 김기순, 김춘배, 이태용, 이덕희, 고광욱 등. 뇌혈관질 환 발생 위험요인 구명을 위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예방의학회지 34(2):157-165, 2001
  19. 강수균, 김정모, 황보명. 정상노인과 중풍환자 노인의 삶의 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1(1):47-59, 2002
  20. 이경호. 뇌졸중 환자가족의 건강상태, 부담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4):669-680, 2001
  21. 김귀분, 이경호. 노인층과 청.장년층 뇌졸중 환자가족의 건 강상태.부담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13(2):262-276, 2001
  22.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Intracerebral hemorrhage versus infarction; stoke severity, risk factors, and prognosis. Ann Neurol 38(1):45-50, 1995 https://doi.org/10.1002/ana.410380110
  23. 정우상, 선종주, 정재한, 문상관, 조기호, 고성규 외. 뇌혈관 한 의학 기반 연구사업 등록자료를 통한 363명의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기초 임상자료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8(1):35-41, 2007
  24. Andersen, K.K., Christensen, R.H.B., Olsen, T.S. Stroke outcome is influenced by marital state; better survival of patients with a spouse. 4th 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ISPRM pp 78-79, 2007
  25. Truelsen, T., Nielsen, N., Boysen, G., Gronbaek, M. Self-reported stress and risk of stroke: The Copenhagen City Heart Study. Stroke 34(4):856-862, 2003 https://doi.org/10.1161/01.STR.0000062345.8077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