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Display Sampling and Visual Momentum

디스플레이 표집과 시각타성에 관한 연구

  • 양리가 (강원대학교 시각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ye Movemen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of vision, and genetic, cultural and empirical schema,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visual system of the cerebrum through the engineering psychological or the cognitive neuroscientific experiments measuring Eye Movement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Sign System in the urban environment. Accordingly, the study derived an algorithm that can bring out the most efficient visual design measurement by using EMR test and bitmap counting method. The scientific test data in this study will show the existence of the momentum of differentiation and visual sampling by the Schema and Sensory Qualia of the human.

본 논문은 도시환경의 공공사인시스템의 효율극대화를 위하여 안구운동을 측정하는 공학 심리적 또는 인지 과학적 실험을 통하여 안구운동과 가로세로의 시각흐름 그리고 유전된 문화적. 선험적 도식 그리고 대뇌의 시각 시스템의 차별을 탐색하였다. 따라서 EMR 관측실험과 bitmap counting 방법을 대입함으로서 가장 효율적인 시각디자인 측정을 구할 수 있는 algorithm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인 실험 Data가 인간의 $\ulcorner$Schema$\lrcorner$$\ulcorner$Sensory Qualia$\lrcorner$ 에 의해, 차별화와 시각표집(Visual Sampling)의 가변성(Momentum)이 상존함을 알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