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방안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heme for Operation of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 A Case Study of Public Libraries in Pusan

  • 발행 : 2007.06.30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독서교실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독서교실 운영 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부산지역 22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였던 2007년 겨울 독서교실 운영계획서와 결과보고서를 활용하였다. 또한 부산지역 22개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담당사서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답변을 듣고 독서교실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점으로는 정체성과 참여도, 교육내용, 인력, 사서재교육, 예산 시설 업무조직임을 밝혔다. 공공도서관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한 독서교실 운영방안으로는 운영과정 전반에 관해 안내하는 독서교실 운영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scheme for operation of reading classroom programs through analysis of present situation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the plan and its report in relation to operation of reading classroom programs in 22 public libraries, implemented in winter, 2007, were used. In addition, questionnaire surveys to the librarians in charge of reading classroom programs in 22 public libraries were also carried out. As the remedies to problems of the program operations were presented in identification and participation, contents of education, manpower, reeducation of librarians, budgets, facilities, and work structure. The scheme for operation of reading classroom programs for keep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 of public libraries needs to develop an operation manual for reading classroom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2007년도 전국독서교실 운영계획' (2006. 11)
  2. 국립중앙도서관 편. '국립중앙도서관 60년사'. 국립중앙도서관. 2006
  3. 김경자.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김수경.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랩 운영.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 (2006. 9), PP. 235-263
  5. 유송숙. 2005.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6. 조명숙. 2003.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7. 한국교원신문 보도자료. 2006. 12
  8. 한국도서관협회. '2006 한국도서관연감'. 한국 도서관협회,2006
  9. 황금숙.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76-92
  10. 황금숙. '어린이 , 청소년 독서문화 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6
  11. 황태숙. 2004.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부산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부산광역시교육청 시립시민도서관. '단위업무 매뉴얼: [사업명] 독서교육'
  13. 부산지역 22개 도서관(강서,구덕,구포,금정,기장; 남구,동구,명장, 반송,부전,북구 디지털,사상,사하,서동,수영구,시민,연산, 영도, 중앙,재송어린이,해운대,해운대구반여)
  14. 2007년 독서 교실 운영계획 및 결과보고서
  15. 독서교실 담당사서와의 면담 및 질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