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on Valuation of IT Enterprise

IT 기업의 가치평가 사례연구

  • 이재일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컴퓨터응용기술학과) ;
  • 양해술 (호서대학교 컴퓨터응용기술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IT(Information Technology)-based industries have caused a recent digital revolution and the appearance of various types' information service, being largely expanded toward info-communication device company, info-communication service company, software company etc.. Therefore, the needs to evaluate the company value of IT business for M&A or liquidation are growing tremendously. Unlike other industries, however, IT industry has a short lift cycle and so it doesn't have not only a company value-evaluating model for general businesses but the objective one for IT companies yet. So, this thesis analyzes various value-evaluating technique and newly rising ROV. DCF, the change method of company's cash flow including tangible assets into future value, had been applied during the past industrialization economy era and has been persuasively applied to the present. However, the DCF valuation has no option but to make many mistakes because IT companies have more intangible assets than tangible assets. Accordingly, it is ROV, recognized as the new method of evaluating companies' various options normally and quantitatively, that is brought up recently. But the evaluation on the companies' various options is too subjective and theoretical up to now and due to the lack of objective ground and options, it's not possible to be applied to reality. In this thesis, it is found that ROV is more accurate than DCF, comparing DCF and ROV through four examples. As the options applied to ROV are excessively limited, we tried to develop ROV into a new method by deriving five invisible value factors within IT companies. Therefore, on this occasion, we should set up the basic valuation methods on IT companies and should research and develop an effective and various valuation methods suitable to each company like an internet-based company, a S/W developing enterprise, a network-related company among IT companies.

정보기술 즉, IT(Information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 최근 디지털 혁명을 불러오면서 다양한 형태의 정보 산업 서비스가 출현, 정보 통신기기 기업, 정보통신 서비스 기업, 소프트웨어 기업 등으로 크게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IT 기업은 다른 산업의 기업들과 달리 Life Cycle의 수명이 짧아 기업의 M&A나 청산 등을 위한 기업가치 평가의 필요성이 폭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반 기업에 대한 기업 가치뿐만 아니라 IT 기업의 객관적인 가치 평가 모형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평가기법 및 최근 새로 부각되고 있는 실물옵션기법(ROV) 기법과 각각의 사례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과거 산업화 경제시대에는 현금 흐름할인법(DCF)을 적용하여 왔다. 즉, 유형의 자산을 포함한 기업의 현금흐름을 미래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현재까지 설득력있게 적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IT기업은 유형의 자산보다 무형의 자산비중이 매우 높아 DCF 방법에 의한 기업의 가치평가는 많은 오류를 범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제시된 것이 최근 개발되어진 실물옵션평가기법 (ROV)이다. 기업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옵션들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법으로 평가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ROV기법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옵션에 대한 평가가 아직까지 주관적이고 이론으로만 치중해 있고, 객관적인 근거의 미비와 옵션의 부족으로 인해 현실에서의 적용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사례를 DCF 평가 기법과 ROV 기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ROV 기법이 DCF 기법에 비해 기업가치 평가가 보다 더 정확하였지만, ROV 기법에 적용된 옵션들이 극히 일부로 제한되어 있어 IT기업이 내포하고 있는 5가지 무형의 가치요인을 도출하여 새로운 ROV 기법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IT 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평가방법을 재정립하고, 나아가 IT기업 중 인터넷기반기업 S/W개발 기업, Network 관련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기업군에 맞는 다양하고 실질적이고 유효 적절한 가치평가기법이 연구 개발되어져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