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Pull and Push Service Based o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Pull 및 Push 서비스 연구

  • 김규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 김도현 (제주대학교 통신컴퓨터공학부) ;
  • 변영철 (제주대학교 통신컴퓨터공학부)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Recently, it is progressing a study for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using Open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But it is not enough a study related OpenAPI(Open Application Interface) to access many collected context data of sensor networks for ubiquitous application services. Therefor, this paper presents Pull/Push service model based on sensor networks, and implements OpenAPI fer Pull/push application services. And, we design and implement OpenAPI using web service for Pull application services. This Pull OpenAPI supports users the context data of temperature and humidity using the remote service based on .Net framework in sensor networks. And, we design and implement OpenAPI using TCP/IP socket interface for Push application services in sensor network. This Push OpenAPI provides users a state of temperature, humidity collecting in sensor networks. Consequently, user can develop easily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as supporting OpenAPI instead of closed application interface of sensor networks based on existed specific database.

최근에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Push와 Pull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Pull/push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Open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Push와 Pull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OpenAPI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ull 서비스와 Push 서비스를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ush 서비스와 Pull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Push 서비스와 Pull 서비스를 제공하는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웹 서비스 기반의 Pull 서비스 구조를 제시하고, .Net 프레임워크 기반의 원격 서비스(Remote Service)를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수집된 온도, 습도 등의 상황 데이터를 Pull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더불어 TCP/IP 소켓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Push 서비스 구조를 제안하고,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특정 데이터베이스 중심의 센서 네트워크의 폐쇄적인 응용 인터페이스를 개방적인 표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여러 곳에 널려 있는 많은 상황 데이터를 쉽게 접근하여 확인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성호, 김주만, “웹 서비스 기반 URC 로봇 원격 모니터링 기술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6권 제 11호, 2006
  2. 강경옥, 김용우, 권훈, 김부림, 김도현, “Tiny-DB와 MySQL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정보 서비스 설계 및 구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 7권, 제 2호, 2006, pp. 175-181
  3. 박유미, 최영일, 이병선, “웹 서비스 기반의 개방형 서비스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제22권, 제5호, 2005, pp. 28-42
  4. 한창환, 한연희, 길준민, 최장원, 윤준원, “Korea@Home 시스템에서 웹 서비스 Open API활용을 위한 설계”,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7, pp. 464-469
  5. 이원석, "웹 서비스(Web Service)", 디지털 행정, 제 25권, 제 2호, 2002, pp. 82-92
  6. 최영관, "소설같은 C# Novel C#", 도서출판 자북, 서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