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hotodegradation of VOC Using High Efficiency System

고효율 광분해시스템을 이용한 VOC 분해성능 연구

  • 도영웅 (순천대학교 화학공학.환경공학과) ;
  • 박성애 (순천대학교 화학공학.환경공학과) ;
  • 하진욱 (순천대학교 화학공학.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In this paper, The $TiO_2$ paste was prepared by changing the ratio of $TiO_2$(Degussa, P-25), binder (A-9540) and solvent. The paste was coated on to aluminuim metal plate to investigate the photodegradation of IPA. The best efficiency was obtained with increasing $TiO_2$ content and decreasing binder content. MEK is preferred to ethanol in terms of efficiency and the lower amount of solvent enhanced the rate. We, however, found the increasing viscosity of the paste and cracking with the lower content of solvent(MEK). In conclusion, the optimum activity was obtained when the ratio of $TiO_2$, Organic binder(A-9540) and MEK was 1.75 : 0.25 : 10.

본 논문은 $TiO_2$(Degussa, P-25), 바인더(A-9540) 그리고 용제의 배합비율을 바꾸어 코팅액을 제조하여 알루미늄 금속판에 코팅한 후, 고농도의 IPA를 주입하여 분해효율을 고찰하였다. 고형분 함량 비율 변화에서는 $TiO_2$ 함량은 증가하고 바인더가 감소할수록 좋은 효율을 보였고, 용제는 에탄올과 MEK 두 가지 중에 MEK의 분해효율이 좋았다. 용제(MEK)함량 비율 변화에서는 일정량의 용제가 있을 경우 분해효율이 좋았고, 용제함량이 낮아질 경우 코팅액 점도가 높아지고 건조 후에는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을 보였다. 결국, 용제함량 비율 변화는 바인더 함량 실험에도 영향을 주어 1.75 : 0.25 : 10일 때 가장 좋은 분해효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훈, "광촉매의 전자제품 응용 연구동향" 전기 전자 재료 제18권 제9호 pp.3-14, 2005.
  2. 광촉매 반응의 응용, J. of Korean Ind & Eng. Chemistry, Vol. 3, No. 1, pp.35-45, March 1992.
  3. 이규환, "광촉매 고정화기술 연구동향", 機械와 材料, Vol. 11, No. 3, pp94-104, 1999.
  4. Michael R. Hoffmann, Deltlef W. Bahnemann etc., Chem. Rev.95, pp69-96(1995). https://doi.org/10.1021/cr00033a004
  5. Rosana M. Alberici, Wilson F. Jardin, Applied Catalysis B : Environmental, 14, pp55-68, 1997. https://doi.org/10.1016/S0926-3373(97)00012-X
  6. A. O'Mally, N. K. Hodnett, Catalysis Today, 54, pp31-38, 1999. https://doi.org/10.1016/S0920-5861(99)00166-2
  7. 다게우찌 고우지, 무라사와 사다오, 이부스키 다가시[공], 김영도 옮김, "광촉매의 세계 : 환경 정화의 결정적인 수단", 대영사, 2000.
  8. Oliva, M. J. et al., "Control Method for Air Emission from Explosive Manufacturing", AWMA 87th Annual Meeting & Exhibition,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Dittsburgh, 1994.
  9. A. Fujishima, Tada N. Rao, Pure & Appl. Chem. Vol. 70, No. 11, pp2177-2187, 1998. https://doi.org/10.1351/pac199870112177
  10. M. Anpo et al., "studies in surface science and catalysis",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catalysis, pp130, pp157, 2000.
  11. 황현태, 김상범, 홍성창, 도동섭, 조성종, "광촉매를 이용한 기상에서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제거", 2000.
  12. 이재춘, "수열합성법에 의한 나노크기 $TiO_2$ 제조에서 합성온도의 영향 및 그 광촉매 특성", 부경대학교대학원, pp54, 2004.
  13. 조성혜, "$TiO_2$ 광촉매를 이용한 PASHs와 TCE 분해 특성 연구", 부경대학교대학원, pp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