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상현실을 이용한 유적 원형의 디지털 복원 기법

The Digital Restoration Mechanism of Original Remains using Virtual Reality

  • 이근왕 (청운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 박찬익 (청운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발행 : 2008.12.31

초록

3D 가상현실의 디지털 복원 기술은 유적과 문화재 보호와 전시의 새로운 양식이다. 이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에서나 문화재에 관한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3D 가상현실 기법을 사용하여 조선시대 한양의 주거환경 및 자연환경을 재현하고 3D 가상현실 기술들을 적용하여 가상 문화재 원형 디지털화의 품질과 로딩속도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디지털 복원 기법을 연구하였다.

The 3D virtual reality digital recovery technique is a new type in protecting and displaying remains and cultural relics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f cultural relics can easily be known anytime and any where. The dissertation focuses on the study of the contradiction between quality and loading speed.

키워드

참고문헌

  1. 양윤아, "3D 애니메이션에서 조명의 효율적 역할에 관한 연구", p28, 2003.08.
  2. 박진호, "신라인의 실크로드", 백산학회, p7, 2005.
  3. 김소현,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2003.
  4. 강정갑, "한국 문화 유사의 디지털 콘텐츠화 연구" 한얀대학교 2007.2.
  5. 문효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실감 연구",고려대학교, 1999.
  6. 강정갑, "한국 문화 유사의 디지털 콘텐츠화 연구" 한양대학교 2007.2.
  7. 이휘재, "공유가상공간에서Avatar 모듈의 설계 및 구현", 한국과학기술원, 1999.
  8. 이주영, "정보공간에서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사회적 내비게이션에 관한 연구". 2003.2.
  9. Keun Wang Lee, Jong Hee Lee, "Design and Implem entation of Mobile-Learning System for Environment Education", Lecture Note in Computer Science, LNCS 3841, 2005.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Trends of Virtual Reality Application Technology for Agricultural Education vol.27, pp.2, 2018, https://doi.org/10.12791/KSBEC.2018.27.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