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steel pipes by phosphate corrosion inhibitor

인산염계 부식억제제에 의한 탄소강관의 부식특성 연구

  • 우달식 ((재)한국계면공학연구소 물환경연구실) ;
  • 황병기 (상명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on corrosion such as pH, turbidity, Fe released concentration, corrosion rate by using batch reactor for corrosion control of phosphate corrosion inhibitor in carbon steel pipes. The pH, conductivity, alkalinity, and Ca hardness showed a slight change for dosing the phosphate corrosion inhibitor with carbon steel pipe in batch reactor. The turbidity was about ten times lower with 5 mg $P_2O_5/L$ of the corrosion inhibitor than that without. The Fe released concentration and corrosion rate was decreased by about 12.2, 24 times with 5 mg $P_2O_5/L$ of the corrosion inhibitor than that without. In conclusion,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phosphate corrosion inhibitor was found to be 5 mg $P_2O_5/L$. The effect of the corrosion inhibitor was significant for the carbon steel plate samples tested in this study. The corrosion inhibitor can be an effective cure for corrosion and red water problem preventing the service pipe from further corrosion.

본 연구는 가정 옥내급수관에 적수 및 탁수 등을 유발하고 철, 구리 등 중금속이 용출될 수 있는 부식 문제 해결을 위해 인산염계 부식억제제를 주입하는 회분식 실험을 통해 옥내급수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연도 강관의 표면 도금이 벗겨진 상태인 탄소강관을 대상으로 주요 수질인자의 변화, 철의 용출농도 변화, 부식도 및 부착도 평가, 시편의 상태를 고찰하였다. 탄소강관에서 부식억제제를 주입하였을때 pH, 전기전도도, 알칼리도, Ca-경도 등의 부식성 수질인자는 약간의 변화가 있었으나, 큰 영향은 없었다. 탁도의 경우 부식억제제를 5 mg $P_2O_5/L$ 주입시 주입하지 않은 것에 비해 약 10배정도 낮게 나타나 부식억제제가 탁도 유발 억제에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식억제제의 주입농도가 5 mg $P_2O_5/L$일 때까지는 부식억제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철(Fe) 용출농도와 부식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식억제제 5 mg $P_2O_5/L$ 주입시 급격히 감소하여 부식억제제를 주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각각 약 12.2배, 약 24배의 저감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인산염계 부식억제제 약 5 mg $P_2O_5/L$ 주입은 옥내 급수관 내부 표면에 치밀한 방식 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제어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동, "상수도관망의 유지관리를 위한 갱생기술", 대한환경공학회지, 29(12), pp.1297-1309, 2007.
  2. (재)한국계면공학연구소, "옥내급수관 및 저수조 관리개선방안",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최종보고서, 2005.
  3. (재)한국계면공학연구소, "환경친화적 위생저수조 및 옥내배관시스템의 유지관리기술 개발", 환경부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004.
  4. 환경부, "수처리제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기준", 환경부고시 제2007-92호, 2007.6.4.
  5. 우달식, 문정기, 구성은, 최종헌, 김주환, 문광순, " 배 급수 시스템에서 부식방지제의 적용 평가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7(5), pp.665-674, 2003.
  6. 우달식, 최종헌, 구성은, 김주환, 안효원, 남상호, 문광순, "상수도 모의 배급수관망을 이용한 방청제의 부식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6(3), pp.347-354, 2004.
  7. 우달식, 구성은, 이병두, 김주환, 문광순, "배급수 계통에서 부식억제제 적용에 따른 부식과 적수와의 상관관계",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9(1), pp.68-77, 2005.
  8. 구성은, 우달식, 이두진, 김주환, 안효원, 문광순, "수질제어 및 부식억제제에 의한 상수도관의 내부부식제어", 상하수도학회지, 20(2), pp.215-223, 2006.
  9. 우달식, 황병기, "탄소강관에서의 인산염 부식억제제농도 감소의 반응속도상수 평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4(1), pp.17-24, 2005.
  10. 조관형, 김선일, 우달식, "동관에서 pH, 알칼리도, 염소이온이 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3(1), pp.43-48, 2007. https://doi.org/10.5668/JEHS.2007.33.1.043
  11. (재)한국계면공학연구소, "상수도 배급수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제의 개발 및 최적이용모델 개발" 환경부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003.
  12. 이광호, "급․배수관망에서 부식 및 녹물발생의 영향 인자에 관한 연구(I)", 대한 환경공학회지, 19(7), pp.949-958, 1997.
  13. 조순행, "급수관의 부식에 미치는 pH 및 Carbonate 농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2), pp. 54-64, 1987.
  14. Sander, A., Berghult, B., Broo, A. E., Johansson, E. L., and Hedberg, T., "Iron corrosion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the effect of pH, calcium and hydrogen carbonate", Corrosion Science, 38(3), pp.443-455, 1996. https://doi.org/10.1016/0010-938X(96)00142-4
  15.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소, "수도관의 부식과 방식 대책", 1996.
  16. 서규태, 정해룡, 이현동, 정원식, 지재성, "배수시스템내 부식영향 수질인자의 변화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0(8), 1151-1160, 1998.
  17. 한수(주), "실무관리자를 위한 냉각수 처리기술", 1996.
  18. 남상호, "국내 수돗물의 수질특성 및 방청제 관리 현황", 수도용 방청제 국제워크샵 자료잡, pp.13-37, 2002.
  19.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Research Foundation and DVGW-Technologiezentrum Wasser, "Internal corros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1996.
  20. Broo, A. E., Berghult, B., and Hedberg, T., "Copper corrosion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Corrosion Science, 39(6), pp.1119-1132, 1997. https://doi.org/10.1016/S0010-938X(97)00026-7

Cited by

  1. Developing a Model for Controlling Internal Corrosion in Water Supply System vol.09, pp.02, 2017, https://doi.org/10.4236/jwarp.2017.9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