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tors for Adopting of RFID Application Technology

RFID 응용 기술의 도입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박차길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 이선규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Recentl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pplication technology is the core of ubiquitous technology. this research examines the factors for adopting the RFID application technology together with factors for adopting the related information system such as ERP, SCM, EDI by researching relevant literature. this research attempts to derive the factors for adopting RFID application technology by using the Delphi Method. The factors for adopt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of the above-mentioned three areas totaled 116 adoption factors. Based on these 116 adoption factors, the factors for adopting RFID application technology were to be derived. A total of 27 adoption factors were derived in the first Delphi investigation. Of the total 27 adoption factors, final 9 adoption factors could be deriv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and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In other words, 9 adoption factors that were derived last were found to be the cost related to tag, relationship with customer firms, compatibility of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based structure, trust and coordination between business firms, intensity of competition within the industry, the standardization of RFID technology, the top management's support and participation degree of client companies. When business firms try to adopt RFID application technology afterwards, concrete and close examin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was found to b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을 관련 정보 기술 즉, ERP, SCM, EDI 등과 같은 정보 시스템의 도입 요인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면서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을 Delphi 방법으로 도출 하였다. 위 3개 분야의 정보 기술 도입 요인은 ERP 분야는 41개, SCM 분야는 42개, EDI 분야는 33개의 도입 요인이 도출되어 총 116개의 도입 요인들이 추출되었으며, 이들 116개의 도입 요인을 바탕으로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9개의 도입 요인(태그 관련 비용, 거래업체와의 관계, 기술의 호환성, 정보 기술 기반 구조, 기업 간 신뢰 및 조정, 산업 내 경쟁 강도, RFID 기술의 표준화, 최고 경영층의 지원, 거래기업의 참여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도입 요인들은 ERP, SCM, EDI 등과 같은 정보 기술의 도입 요인들과 RFID 응용 기술의 도입 요인들과는 다소 다르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태그 관련 비용과 RFID 기술의 표준화 등과 같은 요인들은 RFID 응용 기술의 도입에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04), “RFID 및 USN 기술 개요 및 발전 전망”
  2. 이은곤(2004), “RFID 확산 전망과 시사점”, 정보통신정책, 제9권, 제13호
  3. 유승화(2005), 유비쿼터스 사회의 RFID, 전자신문사
  4. 전중양(2006), “혁신 기술의 RFID 채택과 확산에 관한 결정 요인 규명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5. Turban, E., Lee, J., King, D. and Chung, H. M.(2000), "Electric Commerce A Managerial Perspective," Prentice Hall, New Jersey
  6. Goodwin, B. and M. Seegert(1997), "Implemneting ERP in a Big Way", APICS, pp.60-64.
  7. Kapp, K. M.(1997), "The USA principle: The Key to ERP Implementation Success," APICS, June, pp.62-66.
  8. 송신근, 권광현(2003), 안상일, “중소기업 ERP 시스템의 핵심 성공 요인”, 경영연구, 18(1), pp. 1-24.
  9. 이용헌(2004), “ERP 시스템 도입과 성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10. 문태수, 서기철(2006), “환경 조직, ERP 시스템의 성공적 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15(1), pp. 73-96.
  11. Hansen, J. V. and Hill, N. C.(1999), "Control and Audit of EDI, MIS Quarterly
  12. Iacovou, C. L., I. Benbasat and A. S. Dexter(1995), "Electronic Data Interchange and Small Organization: Adoption and Impact of Technology : MIS Quarterly, Vol. 19, No. 4, December, pp.465-485. https://doi.org/10.2307/249629
  13. 노 영(2000), “EDI 활용수준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14. 노 영, 문태수(1998), “전자문서 교환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및 IS 성숙도에 관한 연구,” MIS연구, pp. 281-290.
  15. Bergeron, F. and Raymond, L.(1992), "Advantages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 Data Base, Vol. 23, No.4, pp.9-31.
  16. Banerjee, S. and D. Y. Golhar(1994), "Electronic Data Interchange: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Nonuser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26, pp.65-74. https://doi.org/10.1016/0378-7206(94)90054-X
  17. Premkunar, Go., K. Ramanurthy and S. Nilakanata(1995),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 Diffusion,"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42, No. 4, November 1995, pp.332-351. https://doi.org/10.1109/17.482083
  18. McGowan, M, K.(1994), "The Extent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 Implementation : A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Perspective,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19. 김병곤(1997), “한국기업의 EDI 구현 결정요인,”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 장형욱, 이상식(2006), “공급사슬내 IT 활동과 SCM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743-750.
  21. 김대수(2006), “미국 중소기업의 SCM 전략과 Best Practice 실행 현황 조사 연구”, 경영과학, 23(1), pp. 135-155.
  22. Lee, H. L., & C. A. Billington(1992), Managing supply chain inventory: Pitfalls & pportunities, Sloan Management Review, 33(3), pp.65-74.
  23. Cooper, Martha C., M. Lambert Douflas, & D. Pagh Janus(1997), Supply chain management: More than a new name for logistic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8(1), pp.1-13. https://doi.org/10.1108/09574099710805556
  24. Christopher, M.(1997),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British
  25. Marien, E.(2000), "The Four Supply Chain Enablers,"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March/April, pp.60-68.
  26. Lummus, R. R., Albert, K and R. J. Vokurka(2000), “Self-Assessment: A Foundation for Supply Chain Success",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Vol. 4, No. 3
  27. Derocher, R. and J. Kilpatrick(2000), "Six Supply `chain Lessons for the new Millennium",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Vol. 3, No. 4, pp.34-40
  28. 윤상열(2006), “비철금속 산업의 공급사슬관리(SCM) 성공 요인 도출에 관한연구”,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