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 the emotional information system in product design -Focused on the cooking kit with fun-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감성정보 모델구축에 관한 연구 - 푸드용품을 중심으로-

  • 형성은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scheme to approach emotional design developed in various way of research without defining criterion of emotional way. A aim of this research to derive a new way of approaching system and construct the process in emotional design. In first experiments, analyze meaning of important factors in cooking kits to construct the model of emotional approaching system by the analysis of quantification theory type 3. This shows that four emotional factors as shape, atmosphere, functional matter, information are deeply related with emotional thinking and design. Consequently, the way of emotional approaching in cooking kit have several conditions essentially as following these; 1.Is it have functional advantages to cook? 2. Is it good looking in shape? 3. Is it possible to make some of mood on cooking? 4. How much information of cook we get in? These conditions were classified in detail to establish emotional design system.

감성디자인 접근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소개되고 있지만 어떠한 진행방법이 정확한지에 대한 기준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감성디자인에 대한 연구방법 중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감성에 대한 구조 모델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는 수량화 3류(Quantification theory type 3) 분석을 통해 속성의 의미를 해석하여 푸드용품에 대한 감성모델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푸드용품 디자인을 위한 감성요인으로는 조형성, 분위기, 기능성, 정보 등의 4가지 요인의 항목이 감성디자인과 관계가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추출된 4가지 항목에 대해 감성적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 요리를 하기에 편리한 기능이 있는가? 2. 요리에 사용하는 용기는 조형적인가? 3. 요리할 때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가? 4. 요리에 관한 정보를 얼마만큼 얻을 수 있는가?)의 정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해 설계요건 항목을 분류하여 감성모델을 구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