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aeology of Textile

부록1 방직고고

  • An, Bo Yeon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is article found that establish of the new study, "Archaeology of Textile",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based on the Silk Road from China. Archaeology of Textile which is formed by the modern archeology in the 20 centuries developed is a research focused on textile and is required experts knowledge of archaeology, natural science, and history of textile. Textiles are the most difficult to handle of existing antiquities and it is rare to be excavated perfectly. However, the early archaeologists were interested in the Silk Road inconsistently. There were various kinds of silk and embroidery in the center of excavation process. In China, there are still numerous textiles have been excavating from across the country which has leaded to the top level of the textile study in the world. Compare to China, Korea hasn't excavated textile much, and we've been having a difficulty to research with small pieces of textile fabrics. With lack of understanding of textile, it is insignificant to excavate relic such as Chunma-Chong(天馬塚), tomb of king Muryeong(武寧王陵) which has started in-depth studying after 30 years later since it was discovered. Accordingly, a history of archeological textile will be introduced and make sure the possibility of study of excavated textile will make sure through this study.

본 고는 일찍이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시작된 중국의 "방직고고"라는 새로운 학문의 성립과 발달과정을 소개하는 글이다. 20세기 근대 고고학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방직고고는 발굴과정 중에 발견되는 방직품 방직공구 방직과 관련된 도상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서, 고고학 자연과학 직물학 등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현전하는 여러 종류의 유물 중에서 직물은 다루기가 가장 난감한 재질의 한 종류로, 온전하게 출토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모순적으로 초기 고고학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킨 것은 실크로드 발굴이었고, 발굴 과정의 중심에는 수천 년 전의 각종 실크와 자수품들이 있었다. 아직도 중국 전역에서는 크고 작은 발굴과정에서 수많은 직물 유물들이 출토되며, 그 결과 중국의 직물 연구는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고대의 직물유물이 발견된 사례가 적고, 직물 조각에 불과하여 실증적인 연구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직물자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천마총, 무령왕릉과 같은 중요발굴의 직물유물 조차 30여년 만에 심층연구가 이루어질 만큼 국내 고대 직물 연구는 아직도 미진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고를 통해 실크로드의 고고학적 직물의 발굴기를 소개하고, 국내 출토 직물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