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 진미채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Jinmichae

  •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지희 (서흥캅셀 품질보증부) ;
  • 문지혜 (서흥캅셀 품질보증부) ;
  • 장미경 (서흥캅셀 품질보증부) ;
  • 이현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관리과)
  • Om, Ae-Son (Dept. of Food and Nutrition, Hanyang University) ;
  • Kim, Ji-Hee (Dept. of Quality Assurance, Suheung Capsule Co., Ltd) ;
  • Moon, Ji-Hea (Dept. of Quality Assurance, Suheung Capsule Co., Ltd) ;
  • Jang, Mi-Kyung (Dept. of Quality Assurance, Suheung Capsule Co., Ltd) ;
  • Lee, Hyun-Ju (Division of Food Safety Managemen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발행 : 2009.12.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진미채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검사 및 조리 전처리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의 효과를 모색하고, 최종 조리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대상 시료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마트에서 국산 3종과 수입산 3종으로 분류하여 구입하였다. 진미채 원재료에서 실험재료 6종 중 1종이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생상 문제가 발견되었다. 총호기성균은 실험재료 중 F2군($7.20{\times}10^7$ CFU/g)을 제외한 5종에서 $1.0{\times}10^3{\sim}1.0{\times}10^4$ CFU/g이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F2군의 경우 $5.13{\times}10^5$ CFU/g이 검출되었으나 이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의 원재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총호기성균수는 진미채를 20초 간 데쳤을 때, F2군에서 $5.08{\times}10^5$ CFU/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학교급식법의 미생물 허용치를 초과하지는 않는 수준으로 안전하였다. 진미채를 20초, 40초, 60초간 볶았을 때, F2군에서 각각 $7.07{\times}10^7$ CFU/g, $7.14{\times}10^7$ CFU/g, $6.93{\times}10^6$ CFU/g로 검출되었으며, 60초 이상 볶더라도 Solberg의 기준치 $1.0{\times}10^6$ CFU/g을 초과하여 위생상 문제가 되었다. 원재료 중 대장균군은 데친 실험군에서 조리시간과 관계없이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시간대별로 데치기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데치기 조리를 하는 경우 대부분 황색포도상구균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그러나 볶음 조리 시 60초간 볶아도 양성인 실험군 3종이 존재하여, 데치기에 비해 저감효과가 미흡하므로 진미채를 이용한 식품 조리 시 전처리로 볶기보다는 데치기 방법이 권장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assessment of raw Jinmichae to cook and to establish its control. Three kinds of Korean Jinmichae products(K1, K2, K3) and three kinds of imported Jinmichae products(Chile: F1, Peru: F2, Mexico: F3) were collected from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erobic mesophilic bacteria in raw Jinmichae(F2) was detected $7.20{\times}10^7$ CFU/g, which exceeded the acceptable standard level, $1.0{\times}10^6$ CFU/g. The rest of raw groups fell up to $1.0{\times}10^3{\sim}1.0{\times}10^4$ CFU/g. Aerobic mesophilic bacteria were detected in blanched and fried Jinmichae groups. Boiled Jinmichae group did not exceed the acceptable standard level of $1.0{\times}10^6$ CFU/g. However, all the fried groups exceeded the level. E. coli were detected in raw Jinmichae but it was able to be controlled by blanching. Unlike this, E. coli was not completely controlled by roasting for 20 seconds relative to 40, 60 seconds. S. aureus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boiling, however, it was not controlled by roasting. After roasting Jinmichae for 60 seconds, S. aureus were detected in the half of all groups. In this study, Jinmichae were found to be favorable one of side dishes in school meal service. Jinmichae can be contaminated by microbial pathogens such as S. aureus, E. coli, etc.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monitor microbial pathogens and to provide their contr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