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y the Cultural Capital of Food-Service Consumers

외식 소비자의 문화적 자본에 따른 서비스 품질 지각과 만족 정도의 차이 연구

  • Kim, Jae-Gon (Dept. of Hotel & Tourism, Wonkwang Health Science College)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service quality which consumers want and basic data for improving their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difference among the quantity of cultural capital obtained from restaurant customers,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satisfaction is not much affected by how much cultural capital one has but by how much influence the cultural capital of parents or family has, or the institutionalized cultural capital. Second, the group that has more cultural capital objectives perceives tangibility, reliability and empathy lower than the one with less cultural capital in general while the group that has more cultural capital embodiments perceives tangibility and assurance higher than the one with less cultural capital; moreover, the group that has more cultural capital institutions perceives the service quality factor lower than the one with less cultural capital. Thir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whole service quality is,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is. In this respect, it is required to offer the service to win customers' sympathy and trust as well as better external atmospher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continuous service training to foster employees' expertise and improve service quality, in order for restaurant customers to visit frequently with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본 연구는 외식업체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획득된 문화자본의 양과 서비스 품질 지각 정도,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고객 만족은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에 많은 영향은 받지 않으나, 제도화된 문화적 자본보다 부모나 가정의 문화적 자본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있다. 둘째, 대체로 객관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에 비해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을 더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형성과 확신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도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모든 서비스 품질의 요인을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서비스 품질 요인의 지각정도가 높으면 높을 수록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고객으로 젊은 20~30대가 주 고객층을 이룬다. 따라서 외양과 분위기는 물론 고객이 공감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식업소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레스토랑의 서비스에 만족하고 재방문 욕구를 발생시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종사원들과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 종사원에 대한 서비스 교육을 꾸준히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