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the parenting perception for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about influence on parenting by parent attachment. The subjects were W university students 223 of Jeon-buk province. The questionnaire includ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and parenting perception.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mother and father) attachment and parenting perception was found to a positive relationship. especially, communication and reliability of parent attachment. But between isolation of parent attachment and parenting perception was found to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the parenting perception influenced by father's reliability among of parent attachment and the next was mother's communication.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부모역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W대학의 대학생 2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학생들의 인구변인학적 문항과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 척도와 부모역할 인식에 대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과 부모역할 인식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의사소통, 신뢰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난 반면 어머니와 아버지의 소외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애착 중 아버지의 신뢰감이 부모역할 인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은 어머니의 의사소통 애착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광현, 김영숙, 이수남, 이은상, 최양미, 부모역할과 자녀교육, 교육과학사. 2002.
  2. 권미경, 대학생의 부모역할 인지에 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 10권 4호, pp. 413-422, 2004.
  3. 김은주, 여대생의 부모기 인식,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동의, 아동간호학회지, 제 12권 1, pp. 89-95, 2006.
  4. 김은진,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 박병태, 부모, 또래애착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1996.
  7. 박화윤, 최재숙, 마지순, 부모역할, 자녀양육과 양육태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아동학회지, 제 23권 5호, pp. 65-76, 2002.
  8. 방희정, 애착연구를 통해 본 부모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제 14권 1호, pp. 67-91, 2009.
  9. 김은주, 여대생의 부모기 인식,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동의, 아동간호학회지, 제2권 1호, pp. 89-95, 2006.
  10. 신향숙, 장윤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 19권 5호, pp.189-202, 2001.
  11. 숙명여자대학교아동연구센터, 현대사회와 부모,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12. 양옥경, 한국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 7권, pp. 175-199, 2001.
  13.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4. 유계숙, 정현숙,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 20권 3호, pp. 39-47, 2002.
  15. 유안진, 김연진, 부모교육, 정민사, 1987.
  16. 유안진, 신양재, 대학생의 부모됨의 동기와 부모역할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 31권 4호, pp. 141-155, 1993.
  17. 이내은,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청소년의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이시은, 이재창, 대학생의 애착유형, 부모.또래애착, 그리고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4호, pp. 947-963, 2005.
  19.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0. 이항순, 유안진, 남자 대학생의 친부에 대한 친밀도와 부성역할 지각 및 미래자기부성역할 지각간의 상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4권 2호, pp. 215-225, 1996.
  21. 임지연, 부모에 대한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2. 장휘숙, 애착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심리학회 구두발표, pp. 276-277, 2006.
  23. 정미라, 이희선, 배소연, 대학생들의 예비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제 15권 1호, pp. 179-197, 1995.
  24. 정은순, 대학생의 부모됨에 대한 인식조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5. 정정숙, 자아 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6. 현온강,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27. Allen, J., & Land, D., Attachment in adolescent. In J. Cassidy & P. R. Shaver(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pp. 319-335). New York: Guilford Press
  28. Benson, M. J., Arditti, J., De Atiles. J. T. R., & Smith, S.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attributions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intimate others. Journal of family issue, 13(4), 450-464, 1992. https://doi.org/10.1177/019251392013004004
  29. Bretherton, T. Attachment theory: Retrospect and prospect. In I. Bretherton & E. Waters(Eds.), Growing points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Serial No. 209, pp. 3-38. 1985.
  30. Bretherton, T., & Munholland, K. A.,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P. R. Shaver(Ed.),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9.
  31. Eysenck, H., & Wakefield, J., Psychological factor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dvances in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3, pp. 151-192. 1981. https://doi.org/10.1016/0146-6402(81)90002-3
  32. Goodrich, W., Ryder, R., & Rausch, H., Patterns of newlywed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0, pp. 383-389, 1968. https://doi.org/10.2307/349904
  33. Goodyer, I. M. Family relationships, life events and childhood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1990. 654-192.
  34. Hazzard, A., Christensen. A., Margolin, G.,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al behaviors. J Abnorm psychology, 11(2), pp. 49-59, 1983. https://doi.org/10.1007/BF00912177
  35. Kettrerson, T., & Blustein, D. L.,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 pp. 167-178,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3.x
  36. Lewis, J. M., & Owen, M. T., Stability and change in family -of- orthopsychiatry, 55(4), pp. 614-618, 1995.
  37. Leaper, C. Anderson, J. K., & Sanders, P., Moderators of gender effects on parents' talk to their children: a meta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34(1), pp. 3-27, 1995.
  38. Maccoby, E. E. & Martain, J. A.(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IV. N.Y: John Wiley & Sons, 1999.
  39. Main, M, Kaplan, N., & Casidy, J.,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Q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L. Bretherton & E. Waters (Eds.), Growing point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p.33-35).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Serial No. 209), 1985.
  40. Rossi, A. S., Transition ti parenthood, In A. Skolnick, & J.K. Skolnick(eds.). Family in transition 5 ed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86.
  41. Snyder, D.,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1, pp. 813-823, 1979. https://doi.org/10.2307/351481
  42. Sroufe, L. A. & Fleeson, J., Attachment and the 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In W. Hartup & Z. Rubin(Eds.)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 51-71). Hillsdale, NJ: Erlbaum, 1986.
  43. Veevers, J. E. The social meanings of parenthood. Psychiatry, 36, pp. 391-310, 1973. https://doi.org/10.1080/00332747.1973.11023764
  44. Fawccett, J. T., The value of children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Marriage and family review, 12, pp. 12-34, 1988.
  45. Veneziano, R. The importance of farther love: History and contempory evidence. Review of general of psychology, 5(4), pp. 382-405, 2001. https://doi.org/10.1037/1089-2680.5.4.382
  46. Vivona, J. M., Parental attachment styles of late adolescence: Quality of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onsequences for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3), pp. 316-329,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3.316
  47. White, D. & Wollett, A., Families. A context for developmnet. London: The Farmer press, 1992.
  48. 조윤주, 성인기 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성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부모부양의무감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8권 1호, pp. 75-92, 2009.
  49. 이윤영, 전효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성인 애착유형과 사랑유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 14권 2호, pp. 99-121, 2009.
  50. 노유진, 박정윤, 김양희, 성인애착유형과 미혼남녀의 사랑유형 및 이성교제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제44권 12호, pp. 31-42, 2009.
  51. Turner, P. J. Relation between attachment, gender, and behavior with peers in preschool. Child development, 62, pp. 1475-1488, 1991. https://doi.org/10.2307/1130820
  52. 유안진, 이점숙, 정현심, 또래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1호, pp. 31-4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