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암환자용 통증관리 지침서 교육이 환자 및 가족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Guidelin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Control

  • Yi, Ji Eun (Department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
  • Park, Myong Hwa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 투고 : 2009.01.29
  • 심사 : 2009.02.27
  • 발행 : 2009.04.30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vision of a cancer pain guideline and education for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control.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a selection criteria from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n the medical ward at K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Bo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patients with cancer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6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which assu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knowledge (t=-20.006, p=.000) and attitude (t=-13.492, p=.000), was accepted. The second hypothesis, which assume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famil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knowledge (t=-16.087, p=.000) and attitude (t=-10.262, p=.000), was supported. Conclusion: Education for cancer related pain control with a patient guideline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patients with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ed this type of guidelin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2001).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2. 권인각(1999). 의료인과 환자에게 제공된 통증교육이 암환자 통증관리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3. 김경희(2003). 근거중심간호. 대한간호, 42(6), 54-63.
  4. 김미란(2006). 환자와 간호사의 암치료정보에 대한 교육중요도와 교육제공정도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용래(1997). 교육심리학 - 학교 교습과 수업의 심리. 서울:문음사.
  6. 김홍수(1998). 종양통증관리를 방해하는 환자의 염려와 관련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문영미(2008). 재가 암환자의 통증양상 및 통증관리 실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8. 박명화(2005). 근거중심간호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군자출판사.
  9. 박영숙, 신영희(1994). 통증관리에 관한 간호사의 지식. 성인간호학회지, 6(2), 299-309.
  10. 박현애, 고명자, 이현숙, 김영미, 김문숙(2003). 일개 병원 간호사의 암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15(2), 205-214.
  11. 보건복지부(2006). 암환자의 통증관리 길라잡이: 암환자의 통증은 조절될 수 있습니다. 국립암센터.
  12. 서순림(2002). 말기암환자의 통증관리 실태. 경북간호과학지, 6(2).
  13. 신순복, 이명화(2003). 암성 통증관리 교육이 암환자의 통증과 통증관리 염려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6(1), 90-103.
  14. 유순화(2004). 신장이식 환자의 교육요구도와 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 비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윤양란(2003). 말기 암환자의 통증 양상 및 관리에 관한 연구:호스피스 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16. 윤웅(2007). 음악치료가 암환자의 통증감소와 수면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군포.
  17. 이선희(2003). 의료인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일 광역시 종합병원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18. 이소우, 이은옥, 허대석, 노국희, 김현숙, 김선례 등(1998). 말기 암환자와 가족의 의료 및 간호서비스 요구. 대한간호학회지, 28(4), 58-968.
  19. 이승자(2002). 폐암수술 후 퇴원 환자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 이원희(1999). 간호사의 암환자 통증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1(4), 718-729.
  21. 이원희, 이미라, 이창걸, 김영진(2004). 팀 접근을 통한 말기 암환자 통증중재 개발. 임상간호연구, 10(1), 172-183.
  22. 이은옥, 허대석, 김순자, 김열홍, 윤성수, 권인각 등(1999). 통증 관리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비교.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2(1), 7-15.
  23. 정귀임, 박정숙, 김혜옥, 윤매옥, 문미영(2004). 암환자 통증관리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에 관한 조사연구. 임상간호연구, 10(1), 111-124.
  24. 정정미(2000). 암환자의 통증양상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25. 채은영(2003). 격자무늬 테이핑 요법이 암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6. 통계청(2006). 주요사망원인 구성비. 서울: 저자.
  27. 현주(1999). 임상간호사의 통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8. 홍영선(2002). Cancer Pain. 창간특집, 1.
  29. 황옥희(2004). 폐암환자의 교육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0. American Cancer Society &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05). Cancer pain: treatment guidelines for patients. ACS: Author.
  31. Cherny, N. I., & Foley, K. M. (1994). Current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cancer pain. Current Approaches to the Management of Cancer Pain, 23(2), 139-159.
  32. Courtney, M. (2005).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Marrickville: Churchill Livingstone.
  33. Craig, J. V., & Smyth, R. L. (2002). The evidence-based practice manual for nurses. NY: Churchill Livigstone.
  34. Dalton, J. A., Blau, W., Lindley, C., Carlson, J., Youngblood, R., & Greer, S. M. (1999). Changing acute pain management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 educational approch. Journal of Pain & Symptom Management, 17(4), 277-287. https://doi.org/10.1016/S0885-3924(98)00142-0
  35. Domnnelly, S., Davis, M., Walsh, D., & Naughton, M. (2002). Morphine in cancer pain management: a practional guide. Support Care Cancer, 10, 13-35. https://doi.org/10.1007/s005200100274
  36. Elliott, B. A., Elliott, T. E., Murray, D. M., Braun, B., & Johnson, K. M. (1996). Patients and family members: the role of knowledge and attitudes in cancer pai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2(4), 209-220. https://doi.org/10.1016/0885-3924(96)00124-8
  37. Ferrell, B. R., & Rivera, L. M. (1997). Cancer pain education for patient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13(1), 42-48. https://doi.org/10.1016/S0749-2081(97)80049-6
  38. Good, M., & Moore, S. M. (1996).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s a new source of middle-range theory: focus on acute pain. Nursing Outlook, 44(2), 74-79. https://doi.org/10.1016/S0029-6554(96)80053-4
  39. Mills, M., & Sullivan, K. (1999).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giving for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8(6), 631-642. https://doi.org/10.1046/j.1365-2702.1999.00296.x
  40.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NHMRC). (1998). A guide to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Retrieved January 30, 2007, from http://www.nhmrc.gov.au/publications/
  41. Oliver, J. W., Kravitz, R. L., Kaplan, S. H., & Meyers, F. J. (2001). Individiualized patient education and coaching to improve pain control among cancer outpatient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7), 2206-2212. https://doi.org/10.1200/JCO.2001.19.8.2206
  42. Rheiner, M., Ferrell, B. R., Ferrell, B. A., & Grant, M. M. (1993). A structured nondrug intervention program for cancer pain. Cancer Practice, 1(2), 137-43.
  43. Royal College of Nursing. (2001). The recognition and assessment of acute pain in children. London: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