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orrosion Evaluation Index Calculation Program of Raw Water and Evaluation on Corrosivity of Tap Water using the Calcium Carbonate Saturation Index

상수원수의 부식평가 지수 산정 프로그램 개발 및 탄산칼슘 포화지수에 의한 수돗물의 부식성 평가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program to calculate the corrosion evaluation index for examining the corrosivity of raw water. When it was applied to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system, sulfuric acid ion, which accelerated corrosion, was higher in Nakdong river system than Han river system while calcium and hardness, which restrained corrosion, was the same way. Summarization of the LI and CCPP calculation result by the developed corrosion evaluation model showed that water quality of Han river system had strong tendency to corrode (is strongly corrosive).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the corrosivity of calcium carbonate saturation index by adding the chemicals to tap water. Saturation status was maintained in the order of $Ca(OH)_2$ > NaOH > ${Na_2}{CO_3}$ > $CaCO_3$ in the case of LI and RI.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의 부식성을 평가하기 위한 부식평가 지수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한강 및 낙동강 수계에 적용하였을 때, 부식촉진 인자인 황산이온은 한강 수계에서 보다 낙동강 수계에서 더 높았으며, 부식제한 인자인 칼슘과 경도 또한 낙동강 수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I와 CCPP를 산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한강 수계의 수질이 부식성이 강한 즉, 부식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수돗물에 알칼리제를 주입하여 탄산칼슘 포화지수의 부식성을 평가한 결과, LI와 RI의 경우 $Ca(OH)_2$ > NaOH > ${Na_2}{CO_3}$ > $CaCO_3$의 순으로 포화상태를 유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필재, 김선일, 우달식, 남상호, "물의 침식성이 수도관 부식에 미치는 영향", 상하수도학회지, 13(1), pp.134-139, 1999.
  2. 우달식, 문정기, 구성은, 최종헌, 김주환, 문광순, "배, 급수 시스템에서 부식방지제의 적용 평가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17(5), pp.665-674, 2003.
  3. 안효원, 우달식, "상수도 배급수시설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억제제 적용의 현안과 과제", 한국상하수도협회지, 8. pp.96-103, 2004.
  4. 우달식, 구성은, 이병두, 김주환, 문광순, "배급수 계통에서 부식억제제 적용에 따른 부식과 적수와의 상관관계", 상하수도학회지, 19(1), pp.68-77, 2005.
  5. 구성은, 우달식, 이두진, 김주환, 안효원, 문광순, "수질제어 및 부식억제제에 의한 상수도관의 내부부식 제어" 상하수도학회지, 20(2), pp.215-223, 2006.
  6. AWWA Research Foundation and DVGW-Technologie zentrum Wasser, "Internal Corros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AWWA ResearchFoundation and DV GW-Technologiezentrum Wasser, Denver, 1996.
  7. 조관형, 김선일, 우달식, "동관에서 pH, 알칼리도, 염소이온이 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3(1), pp.43-48, 2007. https://doi.org/10.5668/JEHS.2007.33.1.043
  8. Sarin, P., Snoeyink, V.L., Clement, J.A., and Kriven, W.M., "Iron Release from Corroded Unlined Cast Iron Pipe: Effect of pH, Alkalinity, and Orthophosphates in a Soft New England Wate"r, J. AWWA, 96(11), pp.85-96, 2002.
  9. 남상호, "국내 수돗물의 수질특성 및 방청제 관리 현황", 수도용 방청제 국제워크샵, pp.13-37, 2002.
  10. 서대근, 왕창근, "수질제어를 통한 관 내부 부식방지 기술의 정수처리공정 적용방안" 상하수도학회지, 20(4), pp.509-518, 2006.
  11. 박영복, 공성호, "탄소강의 녹물저감에 대한 인산염 부식억제제와 석회수 효과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19(2), pp.228-237, 2005.
  12. McNeill, L.S. and Edwards, M., "Iron Pipe Corrosion in Distribution Systems", J. AWWA, 93(7), pp.88-­100, 2001.
  13. Snoeyink, V.L and Jenkins, D., "Water Chemistry", p.453,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80.
  14. Langelier, W.F., "The Analytical Control of Anti-corrosion Water Treatment", J. AWWA, 28(10), 1500-1521, 1936.
  15. Rossum, J.R. and Merrill, D.T., "An Evaluation of the Calcium Carbonate Saturation Indexes", J. AWWA, 75(2), pp.95-100, 1983.
  16. Ryznar, J.W., "A new Index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Calcium Carbonate Scale formed by a Water, J. AWWA, 36(4), pp.472-486, 1944.
  17. 황병기., "상수도관 부식방지를 위한 CCPP(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Potential) 산정 프로그램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1), pp.170-175,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1.170
  18. 곽필재, "상수도 관로 내부부식에 관한 수질의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19. Merrill, D.T. and Sanks, R.L., "Corrosion Control by Deposition of CaCO3 Film Part 1, A Practical Approach for Plant Operators", J. AWWA, 69(11), pp.592-599, 1977.

Cited by

  1. Effect of corrosive water quality control and corrosion index monitoring in pilot scale pipeline simulator vol.32, pp.2, 2018, https://doi.org/10.11001/jksww.2018.32.2.183